lilo 라면 부팅시에 boot: 라고 나올 때 linux single 라고 치면 됩니다.
요새 유행하는 그래픽 배경을 넣었을 경우에는 ctrl-X 든가 alt-X 를 누르면(대개 옆에 뭐 누르면 된다 고 되어 있지요) 텍스트 모드로 들어가는데, 거기서 입력하면 됩니다.
grub 에서는 ...
grub 이 뜨면 .. 부팅할 커널(제 경우 커널을 이것저것 바꿔보는 게 ... 취미라면 취미라서리..) 을 선태가고 e 를 누르면 edit 모드로 들어갑니다.
대충
Quote:
kernel /boot/vmlinuz ro root=LABEL=/
이런 게 나올텐데, 화살표를 제일 뒤로 끌고 가서 다시 e 를 눌러서 메뉴를 edit 모드로 들어가게 하고 나서 뒤에다가 single 을 붙이고 esc 키를 누르고 b 키를 눌러서 부팅되게 하면 됩니다.
Quote:
kernel /boot/vmlinuz ro root=LABEL=/ single
로 만들어 놓고 부팅한다는 거죠.
---------
귓가에 햇살을 받으며 석양까지 행복한 여행을...
웃으며 떠나갔던 것처럼 미소를 띠고 돌아와 마침내 평안하기를...
- 엘프의 인사, 드래곤 라자, 이영도
grup edit>kernel /vmlinuz-2.4.18-3 ro root=/dev/hda5 single
grup edit>kernel /vmlinuz-2.4.18-3 ro root=/dev/hda5/single
grup edit>kernel /vmlinuz-2.4.18-3 ro root=/dev/hda5=/single
이런 식으로 single을 주고 했는데...
계속 runlevel 3으로만 부팅이 되는군요..
runlevel 1 부팅...
lilo 라면 부팅시에 boot: 라고 나올 때 linux single 라고 치면 됩니다.
요새 유행하는 그래픽 배경을 넣었을 경우에는 ctrl-X 든가 alt-X 를 누르면(대개 옆에 뭐 누르면 된다 고 되어 있지요) 텍스트 모드로 들어가는데, 거기서 입력하면 됩니다.
grub 에서는 ...
grub 이 뜨면 .. 부팅할 커널(제 경우 커널을 이것저것 바꿔보는 게 ... 취미라면 취미라서리..) 을 선태가고 e 를 누르면 edit 모드로 들어갑니다.
대충
이런 게 나올텐데, 화살표를 제일 뒤로 끌고 가서 다시 e 를 눌러서 메뉴를 edit 모드로 들어가게 하고 나서 뒤에다가 single 을 붙이고 esc 키를 누르고 b 키를 눌러서 부팅되게 하면 됩니다.
로 만들어 놓고 부팅한다는 거죠.
---------
귓가에 햇살을 받으며 석양까지 행복한 여행을...
웃으며 떠나갔던 것처럼 미소를 띠고 돌아와 마침내 평안하기를...
- 엘프의 인사, 드래곤 라자, 이영도
즐겁게 놀아보자.
빠른 답변 감사드립니다. 그런데...
말씀하신대로 grub에서 커널을 선택하고 마지막에 single을 붙여넣고 부팅을 하는대도 계속 runlevel 3으로 부팅이 되는군요.
제가 뭘 잘못한거죠??
부팅시 --> e
root (hc0,0)
kernel /vmlinuz-2.4.18-3 ro root=/dev/hda5
initrd /initrd-2.4.18.img
이 세가지가 나오구요..
그중에서 kernel 선택하고 e 누른다음에...
grup edit>kernel /vmlinuz-2.4.18-3 ro root=/dev/hda5 single
grup edit>kernel /vmlinuz-2.4.18-3 ro root=/dev/hda5/single
grup edit>kernel /vmlinuz-2.4.18-3 ro root=/dev/hda5=/single
이런 식으로 single을 주고 했는데...
계속 runlevel 3으로만 부팅이 되는군요..
제가 옵션을 잘못 붙인건가요??
Re: 혹시 모르겠네요.
레드햇 계열이라면(다른 계열은 모르겠음) /etc/inittab 파일을 살펴보세요.
위 부분이 있는지도 살펴보시고요. 정 안되시면 # init 1 로 하셔야죠 뭐.
----
http://linu.sarang.net, http://wbhacker.tistory.com
댓글 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