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티션 타입을 변경하고 싶습니다.
글쓴이: ai / 작성시간: 토, 2003/01/25 - 7:44오후
하드 디스크를 둘 쓰고 있습니다. 첫 번째 디스크에는 nt, 두 번째 디스크에는
리눅스가 설치되어있습니다. lilo 를 통해 멀티부팅을 잘 하고 있었는데..
여차저차 복잡한 사정으로 첫 번째 디스크의 mbr 과 파티션 정보가 부러졌습니다.
gpart 를 이용해서 첫 번째 디스크의 mbr 과 파티션 정보를 제법 복구했는데,
문제가 좀 있습니다. 복구된 nt 쪽 파티션이 리눅스에서는 제대로 마운트도 되고
파일에 접근도 할 수 있는데, nt 로 부팅할 수가 없게 되었습니다.
좀 더 정확히 말하자면, lilo -> nt 로 부트를 시도해서 진행은 되는데..
nt 가 기동하는 도중에 d: (/dev/hde5) 에 있는 파일을 엑세스하지 못해서
뻗어버리는 것으로 보입니다.
곰곰이 생각을 해보니 원래 디스크 정보는 아래와 같았던 것으로 추정되는데
/dev/hde1 : primary partition (active) - 8GB
/dev/hde2 : extended partition - 32GB
/dev/hde5 : logical drive of hde2 - 32GB
현재 디스크 정보를 보면 이렇게 되어 있습니다.
root@deb:~# sfdisk -d /dev/hde # partition table of /dev/hde unit: sectors /dev/hde1 : start= 63, size= 16771792, Id= 7, bootable /dev/hde2 : start= 16771923, size= 61384296, Id= 7 /dev/hde3 : start= 0, size= 0, Id= 0 /dev/hde4 : start= 0, size= 0, Id= 0
난감하네요. 확장 파티션 안에 논리드라이브로 들어가 있어야 될 덩어리가
그냥 프라이머리로 잡혀 있으니 윈도에서는 인식이 안되나봅니다.
실제로 전에는 /dev/hde5 였던 공간인데 hde2 로 가버렸으니 -_-;;
fdisk 를 사용해서 저 문제를 수정할 수 없을까요? 도움 부탁드립니다.
Forums:
[quote]곰곰이 생각을 해보니 원래 디스크 정보는 아래와 같았던
위의 값이 정확하다고 하면 현재의 hde2 파티션을 삭제하고,
위와 같이 파티션을 새로 작성하면 될것 같네요.
답변 감사드립니다.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부러진 파티션을 복구해보았
답변 감사드립니다.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부러진 파티션을 복구해보았습니다.
시작 섹터와 파티션의 크기를 다른 정상적인 디스크와 비교해서 여러모로 가능한
모든 경우(..라고 생각합니다.)에 대해 시험해 보았는데.. 결과는 신통치 않네요.
가장 그럴듯한 값으로 복구했을 때, 의도한대로 /dev/hde5 가 잡히긴 합니다만..
제대로 인식이 되는 것은 리눅스에서만입니다. 상황이 약간 좋아진 것인지
nt 기동시에 로그온 스크린까지는 도착하지만 그 이후로 침묵..
엑세스가 가능한 것만도 다행이니 그냥 /dev/hde 를 밀어버리기로 했습니다.
여담으로.. 이 모든 골치아픈 일의 원흉은.. 언제나 그렇듯 스스로의 책임인게죠.
리눅스를 지우고 그 자리에 윈도 98을 넣으려던 중에 일어난 일이거든요.
98 셋업인들 파티션을 부러뜨리고 싶어서 그랬겠습니까. :)
언젠가 알게 모르게 제가 지우라는 선택을 했겠거니 생각합니다.
하지만 정확히 어느 위치에 설치를 시도하는지를 알려주지도 않고서
냅다 mbr 등등을 날려버리는 설치과정은 좀 너무하다 싶네요.
다소간의 사용자 실수에 대해서도 여러 가지 방법을 통해 복구 가능성을
제공해 주는 리눅스의 유연함과는 꽤 대조된다고 생각됩니다.
War doesnt determine whos right, just whos left.
저도 예전에 파티션정보를 날렸다가 다시 설치한적이 있었거든요.파티
저도 예전에 파티션정보를 날렸다가 다시 설치한적이 있었거든요.
파티션의 크기 뿐만 아니라 파티션 타입까지도 정확히 맞아야 되었던건 같습니다.
그 당시에는 windows 설치된 다른 컴퓨터에서 디스크 빼다가 파티션 타입을 확인해서 했었던 것 같습니다.
아마 윈도우도 파일시스템이 몇종류있으니 파일시스템마다 적당한 타입을 고르셔야 할거에요.
댓글 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