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러개의 네트웍카드를 쓸때
지난번에 한번 글로 질문을 드렸는데 제가 자세한 정보를 안올려서 답변을 못얻었습니다... 오늘 다시 구체적으로 질문을 드리려 합니다.
여러가지 이유로 어떤 컴터들이(PC1, PC2....) 외부 통신과 내부통신을 위하여 세개의 랜카드를 가졌다고 하고 그놈들의 설정은 다음과 같이 했다고 하겠습니다.
그중 PC1 의 설정은 다음과 같고 나머지들은 ip의 끝자리 번호들만 하나씩 늘어나게 설정했습니다.
IP / Subnet / GW
eth0 - 172.xxx.xxx.xxx/255.255.255.0/172.xxx.xxx.1 -> 외부통신용
eth1 - 192.168.0.1/255.255.255.0/(GW:따로정해주지않았슴) -> 내부통신용1
eth2 - 192.168.1.1/255.255.255.0/(GW:따로정해주지않았슴) -> 내부통신용2
이상과 같이 설정한후 또 다른 컴터(PC2)의 eth2(192.168.1.2) 으로 통신을 한다면 내컴터(PC1)의 eth1가 통신을 담당하는 것인지요 아니면 eth2 가 자동적으로 통신을 담당하는것인지요?
만약 PC2의 eth2과 통신하기를 원할때 PC1의 eth1가 통신을 하는게 맞다면, PC1의 eth1 대신 eth2이 PC2의 eth2와 통신하도록 하기 위하여서는 어떤 환경을 설정해야 합니까? ( 목적은 PC2 의 eth1 은 늘 PC1의 eth1 과 통신하도록 하고싶고, PC2의 eth2는 늘 PC1 의 eth2를 통해서만 통신하도록 하고싶습니다.)
좀더 공부해서 질문을 해야 하지만.. 좀처럼 이해가 되지 않아서리..
감사합니다.
multi path routing에 대해서 찾아보세요
multi path routing에 대해서 찾아보세요.
복수개의 게이트웨이를 사용하는 방법입니다.
========================================
* The truth will set you free.
댓글 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