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저데이터.. 다시 말해서 TCP 헤더 뒤에 붙는 어플리케이션 데이터에 대해서는 어떤 표준도 정의되어 있지 않으며 사용하기 나름입니다.
TCP 헤더, IP 헤더 등의 네트워크 헤더에서는 BYTE ORDER를 Network Byte Order에 맞춰줘야 합니다만 TCP 혹은 UDP 위에서 돌아가는 일반적인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경우 프로그래머가 이를 고려할 일은 없습니다.
(RAW 소켓을 사용하는 경우는 제외합니다.)
Byte Order가 문제가 될때는 어떤 바이트 스트림을 문자열 자체가 아닌 숫자로서의 의미를 부여할 때 입니다.
이 경우 A와 B가 통신을 하고 A 와 B의 Byte Order가 다를 경우 사전에 byte order가 약속되어야 하며 그 이외의 경우는 신경 안쓰셔도 되겠습니다. ^^
음...
문자열은 상관 없습니다. 그냥 보내시면 됩니다. 그럼...
H/W가 컴퓨터의 심장이라면 S/W는 컴퓨터의 영혼이다!
상관 없습니다.
유저데이터.. 다시 말해서 TCP 헤더 뒤에 붙는 어플리케이션 데이터에 대해서는 어떤 표준도 정의되어 있지 않으며 사용하기 나름입니다.
TCP 헤더, IP 헤더 등의 네트워크 헤더에서는 BYTE ORDER를 Network Byte Order에 맞춰줘야 합니다만 TCP 혹은 UDP 위에서 돌아가는 일반적인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경우 프로그래머가 이를 고려할 일은 없습니다.
(RAW 소켓을 사용하는 경우는 제외합니다.)
Byte Order가 문제가 될때는 어떤 바이트 스트림을 문자열 자체가 아닌 숫자로서의 의미를 부여할 때 입니다.
이 경우 A와 B가 통신을 하고 A 와 B의 Byte Order가 다를 경우 사전에 byte order가 약속되어야 하며 그 이외의 경우는 신경 안쓰셔도 되겠습니다. ^^
자세한 답변 고맙습니다.
자세한 답변 고맙습니다.
Simple is best, all of the time...
저거 맞나...
댓글 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