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모리를 kernel 영역이 아닌 user영역에 할당 받는 테크닉을 사용해 보시지요.
본지가 오래되서 정확한 메카니즘은 기억나지 않지만, 책 제목은 기억납니다.
Linux Device Driver (한국어판도 있음) 이 책에서 사용자 수준 디바이스
드라이버를 제작할 때, 그러한 테크닉을 구사한 것으로 기억합니다.
커널수준 디바이스가 kmalloc()으로 소량의 메모리를 사용하는데 적합한
반면, 사용자수준(user level)디바이스 드라이버로 만들게 되면 대용량
메모리를사용할 수 있습니다.
user space
메모리를 kernel 영역이 아닌 user영역에 할당 받는 테크닉을 사용해 보시지요.
본지가 오래되서 정확한 메카니즘은 기억나지 않지만, 책 제목은 기억납니다.
Linux Device Driver (한국어판도 있음) 이 책에서 사용자 수준 디바이스
드라이버를 제작할 때, 그러한 테크닉을 구사한 것으로 기억합니다.
커널수준 디바이스가 kmalloc()으로 소량의 메모리를 사용하는데 적합한
반면, 사용자수준(user level)디바이스 드라이버로 만들게 되면 대용량
메모리를사용할 수 있습니다.
------------------ P.S. --------------
지식은 오픈해서 검증받아야 산지식이된다고 동네 아저씨가 그러더라.
heap 에서 할당하면 꽤 많이 할당할수 있습니다http://bb
heap 에서 할당하면 꽤 많이 할당할수 있습니다
http://bbs.kldp.org/viewtopic.php?t=31107
댓글 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