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6.4 리모트 커널 컴파일 성공 T_T
집에서 쓰는 PC에서 커널 컴파일을 하면 부팅은 되지만 네트워크는 안되는 커널을 많이 컴파일 해봤기 때문에 만반의 준비를 했습니다. 그 중 하나가 일정 시간 뒤 리붓...입니다. lilo -R 이랑 같이 물려놓으면 안전하리라 생각됩니다.
IDC에서 돌아가는거라 네트워크 기능만 제대로 들어가면 되는데 네트워크쪽 설정이 너무 많아서 대충 다 때려넣고(...),
커널 컴파일 뒤, lilo에 2.6.4 커널 추가. lilo 실행해서 등록.
lilo -R linux-2.6.4 panic=4
한 뒤,
/etc/crontab에
분 시 일 월 연 root reboot
을 추가, 분 시 일 월 연은 리붓은 성공했으나 네트워크가 안 될 때 원래 커널로 리붓하도록 적당히 시간을 맞춰주세요. 리붓 성공 뒤에 지우는거 잊지 마시고..;
/etc/init.d/crond restart
혹시 몰라서 initrd 이미지를 만들었습니다.
mkinitrd -f /boot/initrd-2.6.4 2.6.4
이렇게 하니 잘 만들어지더군요. 파일 시스템을 커널에 내장했기 때문이 불필요하다고 생각되지만 없어서 낭패보느니 낫다고 생각했습니다.
이정도면 제가 아는 한 안전장치를 다 했다고 생각하고 리붓했습니다.
ping -t i-i.st 를 때려놓고 조마조마하게 퐁이 오길 기다렸습니다. 피말리는 수초가 지나고 리붓 성공..! T_T
혹시 참고가 될까 하여 설정을 같이 올립니다. IDC에서 서버만 돌아가는거라 기능을 적게 넣었고, 네트워크쪽은 잘 몰라서 원래 있던 설정입니다 :oops:
더 최적화가 가능하면 지적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첨부 | 파일 크기 |
---|---|
config.txt | 21.53 KB |
레드햇커널 2.4.18와 소스커널 2.6.4에서 아파치성능
ab -n 2000 -c 100 sleepnot.i-i.st/zoralboard/zboard.php?id=et_freeboard
...어느쪽이 좋은건지 못 알아보겠어요 :oops:
제가 설정해서 컴파일한 2.6.4 커널에 다소 문제가 있는거 같습니다.
----
갑자기 생각난건데, 이전 커널에서 컴파일된 아파치가 새 커널에서 제 성능을 못내는게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드네요. 새 커널에서 아파치도 다시 컴파일하고 하면 괜찮을까요...
큰 성능차이를 보기는 힘듭니다.
아파치 1.3.x 는 기본적으로 fork 방식이므로 아무리 커널을 높여도 성능향상에는 별로 큰 도움이 안됩니다. 정 도움을 보고 싶다면 아파치를 2.x 로 높여서 커널 2.6의 도움을 받으시는게 성능향상이 될거라 생각됩니다.
해당 애플리케이션과이 컴파일한 커널의 버전은 심각하게 버전이 차이나지 않는한 그렇게 큰 차이가 없습니다. 컴파일은 커널이 해주는게 아니라 컴파일러가 하고 실행시에 라이브러리에 의해서 영향을 받습니다.
========================================
* The truth will set you free.
댓글 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