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edora 한글문제
글쓴이: lnsium / 작성시간: 금, 2003/11/07 - 8:45오후
1. 윈도우랑 멀티부팅하는데요. 파일시스템은 ntfs입니다. 다행히 벌써 fedora-ntfs rpm이 나왔더라구요. 그래서 설치했구요. 마운트하는데 문제가 없습니다. 그런데 옵션으로 iocharset=cp949를 줘도 한글디렉토리가 깨져서 나옵니다. 아마도 LANG이 ko_KR.UTF-8이라서 아닐까.. 생각하는데 문제는 저가 해결책을 모른다는 겁니다.. 더욱이 저가 문자셋에 대한 개념이 없습니다..-.-;; 해결방법 좀 갈키도요..아마 예전부터 UTF-8를 선호하셨던 분들은..한방에 해결하실수 있을거 같은디. :oops:
2. 비슷한 맥락인데요...xChat에 글을 쓰면..저 화면에선 안 깨지는데...상대창에선..와장창 깨지더군요..더욱이..다른이가 쓴 글은 저한텐 깨져 보인답니다..-.-;;
3. man도 역시 한글을 보려구 하면..예전의 $$$$ 문제를 넘어 아예 출력조차 안됩니다..아...utf의 길은 멀고도 험한가...-.-;;
요번참에..문자셋에 대한 개념을 한번 잡아봐야겠어염...조언을 부탁드립니다..
꾸벅..-.-;;
Forums:
1번 문제 해결..아싸..^^
마운트 옵션을 줄때
iocharset=utf8
라고 하면 됩니다..아..기뻐라..
그럼...xChat이나 man의 문제를 해결해 볼까나..쿠쿠쿠..:-)
Re: fedora 한글문제
2번 빨간 상자에는 채널에서 쓸 인코딩을 지정합니다. cp949를 적어줍니다.
http://new.gnome.or.kr/irc/howtojoin.php 에서 참고
http://linux.mizi.com/wim/moin.cgi/ko_KR.UTF-8#head-b638b2cef2594b9c6250d73c231cce0b12781f6d
를 참고 하세요.
감사합니다...덕분에..모두 해결했습니다..^^
xChat의 경우 바로 됐구요...
man은 /etc/man.conf의
KNROFF /usr/bin/groff -Tkorean -mandoc
아래로 고쳐주니깐..잘 되더군요...
KNROFF /usr/bin/nroff -c -mandoc
man이 이렇게 다단계과정을 거치는 줄 몰랐답니다..-.-;;
요건 해결됐는데..이제 문제는...
터니널에서 vi로 문서를 열때..윈도우나 다른 시스템에서 utf로 코딩된게 아니면 한글이 또 와장창 깨지지는 거 같은데...이것도 뭔수가 있는거 같은데...-.-;;
힌트좀..주시면..저가..또...^^
감사..꾸벅...
아싸...vi도 해결...후훗..^^V
~/.vimrc에 다음을 포함시키면 되더군요...
set fileencodings=ucs-bom,utf-8,enu-kr
:cry: 근데...cat 으로 보면 깨집니다..-.-;;
요건 어떻게 해결할까나..
댓글 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