헷깔리는 포인터 문제.. 이문제 맞추면 고수....

글쓴이: 익명 사용자 / 작성시간: 화, 2001/12/04 - 11:17오전
이문제를 소스만 보고 결과를 맞추는 사람은 상당한 고숩니다.
int main( void )
{
int ii[5] = { 0, 1, 2, 3, 4 };
int *pii;
int p1, p2;
p1 = ii;
p2 = ii + 1;
printf( " %ld \n", p2 - p1 );
pii = ii;
printf( "\n %d, %d, %d\n", *pii, *( pii++ ), *( pii + 1 ));
return 0;
}
정답은.. 다음 기회에...
Forums:
Re: 헷깔리는 포인터 문제.. 이문제 맞추면 고수....
처음 결과 4는 이해가 되는데.
다음 결과 1 , 0 , 1 은 이해가 안되네요..
ㅠ_ㅠ.
a++ 이 나중에 일어나서 1 , 0 이 되는거 까지는 알겠는데.
그렇게 된다면.. 뒤에건 2 가 되어야 하는거 같은데..
정말 어렵네요..
Re: 헷깔리는 포인터 문제.. 이문제 맞추면 고수....
하얀눈 wrote..
이문제를 소스만 보고 결과를 맞추는 사람은 상당한 고숩니다.
int main( void )
{
int ii[5] = { 0, 1, 2, 3, 4 };
int *pii;
int p1, p2;
p1 = ii;
p2 = ii + 1;
printf( " %ld \n", p2 - p1 );
p2-p1=sizeof(int)가 될거구요..
pii = ii;
printf( "\n %d, %d, %d\n", *pii, *( pii++ ), *( pii
+ 1 ));
이것의 결과는 compiler-specific합니다..
대부분의 compiler는 뒤에서부터 계산을 해서...
*(pii+1) 1
*(pii++) 0
*pii 1
이 출력되겠지만..
앞에서부터 계산을 한다면..
*pii 0
*(pii++) 0
*(pii+1) 2
가 되겠지요..
이런 형태는 절대 쓰지 마라고 책에 나와있군요^^..(K&R C)
return 0;
}
정답은.. 다음 기회에...
Re^2: 헷깔리는 포인터 문제.. 이문제 맞추면 고수....
정답이시네요..
아래는 리눅스에서 돌린거..
[kkk999@localhost kkk999]$ ./a.out
4
1, 0, 1
Re^2: 헷깔리는 포인터 문제.. 이문제 맞추면 고수....
첫번째 값을 출력하는 것은 당연한 결과인 듯 하고..
두번째 값을 출력하는 것은 컴파일러의 문제가 아니라
실행할때 인자를 스택에 넣어서 전달하는 방법상의 문제가 아닌가요?
써놓고 보니, 컴파일러가 컴파일할때 결정되겠군요. ^^
암튼 매개변수를 전달할 때 뒤에 있는 것부터 스택에 넣는가
아니면 앞에 있는 것부터 넣는가의 문제가 아닐런지..
그리고 윈도 프로그램에서 PASCAL 이란 표기가 이걸을 맥 스타일로 한다는 소문이 있던데..
워낙에 허접 삽질이라.. 이만 총총..
sliver wrote..
하얀눈 wrote..
이문제를 소스만 보고 결과를 맞추는 사람은 상당한 고숩니다.
int main( void )
{
int ii[5] = { 0, 1, 2, 3, 4 };
int *pii;
int p1, p2;
p1 = ii;
p2 = ii + 1;
printf( " %ld \n", p2 - p1 );
p2-p1=sizeof(int)가 될거구요..
pii = ii;
printf( "\n %d, %d, %d\n", *pii, *( pii++ ), *( pii
+ 1 ));
이것의 결과는 compiler-specific합니다..
대부분의 compiler는 뒤에서부터 계산을 해서...
*(pii+1) 1
*(pii++) 0
*pii 1
이 출력되겠지만..
앞에서부터 계산을 한다면..
*pii 0
*(pii++) 0
*(pii+1) 2
가 되겠지요..
이런 형태는 절대 쓰지 마라고 책에 나와있군요^^..(K&R C)
return 0;
}
정답은.. 다음 기회에...
Re^3: 헷깔리는 포인터 문제.. 이문제 맞추면 고수....
스택에 넣는 순서가 아니고, 컴파일러가 argument list 를 parsing할 때,
reduce되는 순서에 의해서 결정됩니다. (결국 그 순서에 의해서 stack에
들어가겠지만요. )
즉, 컴파일러 문법이
args args ',' expr인지
args expr ',' args 인지에 따라 parsing되는 순서가 다르고
결국 먼저 처리되는 expression이 달라서 생기는 문제(?)입니다.
Re^2: 헷깔리는 포인터 문제.. 이문제 맞추면 고수....
위의 분이 말씀하신것 처럼
K&R 의 "The C Programming Language 2nd" 에 설명되어 있습니다.
코딩할때 주의해야할 side effect 였던것 같군요.
Re^4: 헷깔리는 포인터 문제.. 이문제 맞추면 고수....
인자를 받을 컴파일러의 grammar rule 은 아무래도 아래와 같지 않을까 해서요 ^^
yacc & lex 에서 본것입니다.
args arg
| arg ',' args
or
args arg
| args '.' arg
댓글 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