윈도우즈나 리눅스나 부팅을 위한 최소한의 드라이버는 커널 내부에 내장하고 있습니다. 이 외의 드라이버는 유연한 운영을 위해서 모듈로 분리해서 빼놓는 경우가 많구요. 하지만 내 시스템에 딱 맞는 최적화된 환경을 원하시면 커널에 내 시스템에 있는 드라이버만 포함시키고 나머지는 설치도 안하도록 할 수 있습니다.
이런 경우에는 커널 내부에 드라이버가 포함되기 때문에 장비가 바뀌면 재 컴파일을 해주셔야 하죠. 하지만 모듈로 사용하고 계신다면 필요한 모듈만 빌드하셔서 설치하시면 되니까 아무래도 후자를 많이 택하겠죠.
오늘 우리는 동지를 땅에 묻었습니다. 그러나 땅은 이제 우리들의 것입니다.
아직도 우리의 적은 강합니다. 그러나 우리는 그들보다 많습니다.
항상 많을 것입니다.
리눅스에서는 윈도우즈와는 달리 디바이스에 의존하지 않고 커널에 의한 모듈관리로 의존한다고 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윈도우즈에서는 하드웨어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디바이스 드라이버의 계념이 빠져버리면
그에 해당 되는 장치는 동작이 되지 않는다고 볼 수 있습니다.
그리고 리눅스에서는 커널에서 해당되는 장치가 지원되지 않으면 동작되지 않고 혹 지원이 된다 하더라도
모듈을 상주시켜 주지 않으면 동작이 되지 않는다고 볼 수 있고요…
그래서 리눅스에서는 윈도우와는 달리 커널 하드웨어지원 목록이 라는 것이 문서화 되어 존재를 합니다.
윈도우에서는 그냥 해당하는 드라이버만 설치하면 됩니다.
리눅스에서는 만일 쓰고자 하는 하드웨어가 지원이 되지 않으면 해당되는 지원이 되는 커널로 컴파일 하게 되지요…
커널 컴파일 하지 않아도 될 듯...
커널 컴파일 할 때 특정 랜카드만을 쓸 수 있도록 했다면 모를까 기본적으로는 배포판에 있는 커널을 그대로 사용해도 될 겁니다. 랜카드가 바뀌었을 때 설정을 바꾸어야 하는 부분은 있을 지도 모르겠습니다.
세벌 https://sebuls.blogspot.kr/
윈도우즈나 리눅스나 부팅을 위한 최소한의 드라이버는 커널 내부에 내장하고
윈도우즈나 리눅스나 부팅을 위한 최소한의 드라이버는 커널 내부에 내장하고 있습니다. 이 외의 드라이버는 유연한 운영을 위해서 모듈로 분리해서 빼놓는 경우가 많구요. 하지만 내 시스템에 딱 맞는 최적화된 환경을 원하시면 커널에 내 시스템에 있는 드라이버만 포함시키고 나머지는 설치도 안하도록 할 수 있습니다.
이런 경우에는 커널 내부에 드라이버가 포함되기 때문에 장비가 바뀌면 재 컴파일을 해주셔야 하죠. 하지만 모듈로 사용하고 계신다면 필요한 모듈만 빌드하셔서 설치하시면 되니까 아무래도 후자를 많이 택하겠죠.
오늘 우리는 동지를 땅에 묻었습니다. 그러나 땅은 이제 우리들의 것입니다.
아직도 우리의 적은 강합니다. 그러나 우리는 그들보다 많습니다.
항상 많을 것입니다.
[quote="crimsoncream"] 이 외의 드라이버는 유연한 운영
커널에 포함된다는 의미가 잘 이해가지 않는군요.
포함된다는 것이 커널프로세스처럼 동작한다는 건가요? 모듈로 분리하는 경우는 커널프로세스로 동작하지 않는 거구요.
결국 수행속도 또는 성능의 차이 때문이라면 그럴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주워들은 얘기는 있어서 혼자 뜬구름 잡은 거 아닌지 모르겠습니다.
하드웨어 관리는...
리눅스에서는 윈도우즈와는 달리 디바이스에 의존하지 않고 커널에 의한 모듈관리로 의존한다고 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윈도우즈에서는 하드웨어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디바이스 드라이버의 계념이 빠져버리면
그에 해당 되는 장치는 동작이 되지 않는다고 볼 수 있습니다.
그리고 리눅스에서는 커널에서 해당되는 장치가 지원되지 않으면 동작되지 않고 혹 지원이 된다 하더라도
모듈을 상주시켜 주지 않으면 동작이 되지 않는다고 볼 수 있고요…
그래서 리눅스에서는 윈도우와는 달리 커널 하드웨어지원 목록이 라는 것이 문서화 되어 존재를 합니다.
윈도우에서는 그냥 해당하는 드라이버만 설치하면 됩니다.
리눅스에서는 만일 쓰고자 하는 하드웨어가 지원이 되지 않으면 해당되는 지원이 되는 커널로 컴파일 하게 되지요…
무한한 상상력과 강한실행욕구는 엔지니어의 마지막 무기~
댓글 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