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인해 보니 eunjea님께서 처음에 말씀하신것도
잘 작동이됩니다. 감사합니다.
다만, 노트북이라 '한/영'키와 '한자'키가 오른쪽 Ctrl 과 Alt키로
정의 되어 있어서인지 아무리해도 안되서 결국 사용하지 않는
윈도우키와 메뉴키를 각각 정의해서 사용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문제해결 중 알게된 것인데 텍스트 콘솔에서 showkey로
확인된 코드값과 X윈도우 상에서 xev로 확인되는 코드값이 틀리더군요.
이유가 궁금한데 새로운 질문으로 등록할까 고민중입니다. :lol:
그럼...
확인해 보니 eunjea님께서 처음에 말씀하신것도
잘 작동이됩니다. 감사합니다.
다만, 노트북이라 '한/영'키와 '한자'키가 오른쪽 Ctrl 과 Alt키로
정의 되어 있어서인지 아무리해도 안되서 결국 사용하지 않는
윈도우키와 메뉴키를 각각 정의해서 사용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문제해결 중 알게된 것인데 텍스트 콘솔에서 showkey로
확인된 코드값과 X윈도우 상에서 xev로 확인되는 코드값이 틀리더군요.
이유가 궁금한데 새로운 질문으로 등록할까 고민중입니다. :lol:
그럼...
-----------
도데체 여기에 있는 키 번호란 것이 무엇일까? Backspace는 리눅스에서는 14이고 X에서는 22라니? 뭐 별거 아니고 임의로 붙였다고 보면 된다. 리눅스에서 사용되는 키 번호를 보고 싶으면 showkey(1)를 사용하면 되고, X에서는 비슷한 것으로 xev(1)를 사용하면 된다. 종종 X에서 사용하는 번호는 리눅스에서 사용하는 번호에 8을 더하면 된다.
/etc/X11/Xmodmap 파일(또는 그와 상응하는)에 다음 두줄 추
/etc/X11/Xmodmap 파일(또는 그와 상응하는)에 다음 두줄 추가하세요.
keycode 121 = Hangul_Hanja
keycode 122 = Hangul
http://eunjaeim.com
네.. 그렇게 했는데..
먼저 답변 감사드립니다.
그런데, 그렇게 해도 안되네요.
노트북이라 Keycode값이 틀릴것 같아 consol에서 showkey로
한/영키과 한자키를 확인해서 아래와 같이 넣었습니다.
그런데 역시 안되네요.
보니까 XF86Config에서 주석처리한것을 제거하라고 나와
그것도 했는데 역시 안됩니다.
어떻게 해야 할까요?
다른것은 문제가 없는데 Anjuta에서 'shift-space'로는
한/영 전환을 할수가 없어서 불편하네요.
xmodmap -e "keycode 122 = Hangul" 이런식으로
xmodmap -e "keycode 122 = Hangul" 이런식으로 X 상에서
직접 실행해 보면 어떤가요?
http://eunjaeim.com
감사합니다.
확인해 보니 eunjea님께서 처음에 말씀하신것도
잘 작동이됩니다. 감사합니다.
다만, 노트북이라 '한/영'키와 '한자'키가 오른쪽 Ctrl 과 Alt키로
정의 되어 있어서인지 아무리해도 안되서 결국 사용하지 않는
윈도우키와 메뉴키를 각각 정의해서 사용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문제해결 중 알게된 것인데 텍스트 콘솔에서 showkey로
확인된 코드값과 X윈도우 상에서 xev로 확인되는 코드값이 틀리더군요.
이유가 궁금한데 새로운 질문으로 등록할까 고민중입니다. :lol:
그럼...
Re: 감사합니다.
-----------
도데체 여기에 있는 키 번호란 것이 무엇일까? Backspace는 리눅스에서는 14이고 X에서는 22라니? 뭐 별거 아니고 임의로 붙였다고 보면 된다. 리눅스에서 사용되는 키 번호를 보고 싶으면 showkey(1)를 사용하면 되고, X에서는 비슷한 것으로 xev(1)를 사용하면 된다. 종종 X에서 사용하는 번호는 리눅스에서 사용하는 번호에 8을 더하면 된다.
---------------
http://doc.kldp.org/wiki.php/LinuxdocSgml/Keyboard-and-Console-HOWTO
에서 가져왔습니다.
덕분에 저도 몰랐던 것 배웠습니다.
댓글 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