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와 C++은 기본적으로 컴파일시 심볼 이름을 부여하는데 차이가 있습니다. 예를들어 void hello(int, int)라는 함수가 있다면 C 컴파일러는 대략 _hello 라는 심볼 이름을 붙이는데 반해 C++ 컴파일러는 ?hello@@YAXHH@Z 이런 식으로 이름을 붙이죠. 그래서 이를테면 a.cpp에서 void hello(int,int)를 정의하고 b.c에서 그 함수를 참조하게 되면, b.o에서 참조하는 심볼은 _hello이지만 실제로 a.o에 정의된 심볼은 ?hello@@YAXHH@Z이므로 링크 단계에서 실패하게 됩니다. 따라서 C++컴파일러가 어떤 identifier를 C 형식 심볼 이름으로 해석해내게끔 할 때 extern "C"를 사용합니다. 이를테면 extern "C" void hello(int, int); 혹은 extern "C" { void hello(int, int); } 라고 하면 됩니다.
하지만 주의해야할 것은 extern "C"는 C++에만 있는 것이고 C에는 없다는 점입니다. C/C++양쪽에서 모두 인클루드되어 사용될 수 있는 헤더화일의 경우에 문제가 발생합니다. 예를들어 windows.h를 작성한다고 합시다. 단순히
...
HDC GetDC(HWND hwnd);
...
라고만 선언해버리면, C화일에서는 문제없이 사용할 수 있겠지만, C++화일에서 이러한 선언을 사용해버리면 링크할때 엉뚱한 심볼을 참조하려고 하면서 실패하게 됩니다. 그렇다고
extern "C" {
...
HDC GetDC(HWND hwnd);
...
}
이렇게 해버리면 C++에서는 문제없이 사용할 수 있겠지만 C컴파일러는 extern "C"라는 것을 인식하지 못할테므로 에러가 발생하겠지요. 따라서
Re: 기초 질문 입니다.
오류 아닌가..?디파인으로 막혀있으면 에러는 안나겠네요.
----------------------------------------------------------------------------
Re: 기초 질문 입니다.
아마 밑에 가면
이런게 하나 더 있을텐데요, ifdef __cplus... 요건 compile되는 환경이 C++ 라면 이라는 뜻입니다. 보통 C++에서 class에 속하지 않는 free function 이나 변수 선언할때 쓰입니다.
--
Life is short. damn short...
C와 C++은 기본적으로 컴파일시 심볼 이름을 부여하는데 차이가 있습니다
C와 C++은 기본적으로 컴파일시 심볼 이름을 부여하는데 차이가 있습니다. 예를들어 void hello(int, int)라는 함수가 있다면 C 컴파일러는 대략 _hello 라는 심볼 이름을 붙이는데 반해 C++ 컴파일러는 ?hello@@YAXHH@Z 이런 식으로 이름을 붙이죠. 그래서 이를테면 a.cpp에서 void hello(int,int)를 정의하고 b.c에서 그 함수를 참조하게 되면, b.o에서 참조하는 심볼은 _hello이지만 실제로 a.o에 정의된 심볼은 ?hello@@YAXHH@Z이므로 링크 단계에서 실패하게 됩니다. 따라서 C++컴파일러가 어떤 identifier를 C 형식 심볼 이름으로 해석해내게끔 할 때 extern "C"를 사용합니다. 이를테면 extern "C" void hello(int, int); 혹은 extern "C" { void hello(int, int); } 라고 하면 됩니다.
하지만 주의해야할 것은 extern "C"는 C++에만 있는 것이고 C에는 없다는 점입니다. C/C++양쪽에서 모두 인클루드되어 사용될 수 있는 헤더화일의 경우에 문제가 발생합니다. 예를들어 windows.h를 작성한다고 합시다. 단순히
라고만 선언해버리면, C화일에서는 문제없이 사용할 수 있겠지만, C++화일에서 이러한 선언을 사용해버리면 링크할때 엉뚱한 심볼을 참조하려고 하면서 실패하게 됩니다. 그렇다고
이렇게 해버리면 C++에서는 문제없이 사용할 수 있겠지만 C컴파일러는 extern "C"라는 것을 인식하지 못할테므로 에러가 발생하겠지요. 따라서
이렇게 해서 C, C++ 양쪽에서 include할 수 있도록 해줍니다.
댓글 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