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개의 보드라함은 3대의 리눅스 운영체제가 동작하는 환경을 의미하나요?
아니면 하나의 운영체제 내에 3개의 디바이스가 동작하는 환경인가요?
첫번째라면 분산시스템의 동기화를 고려해야하는 좀 어려운 문제군요.
2번째라면 단순하게 세마포를 사용해서도 구현할 수 있겠군요.
아마도 첫번째 질문인것 같은데 맞나요?
3개의 보드라함은 3대의 리눅스 운영체제가 동작하는 환경을 의미하나요?
아니면 하나의 운영체제 내에 3개의 디바이스가 동작하는 환경인가요?
첫번째라면 분산시스템의 동기화를 고려해야하는 좀 어려운 문제군요.
2번째라면 단순하게 세마포를 사용해서도 구현할 수 있겠군요.
아마도 첫번째 질문인것 같은데 맞나요?
분산시스템의 동기화에 대한 얘기는 게시판에서 논의하기에는 어려운 주제인것
같습니다.
Fault Tolerant랑 같이 논의되어야 하는 상황이라면 더욱 어렵습니다.
이런 경우 떠올리는것이 미들웨어지요.
그래서, 저는 단지 몇가지 라이브러리를 소개하고자 합니다.
메시지패싱기반 미들웨어인 MPI 또는 PVM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만, 임베디드
시스템이라면 p4라는 라이브러리를 일단 떠올릴 수 있습니다.
이들은 분산병렬처리를 위한 것이지만, 다른 목적으로 사용도 가능합니다.
이들 기능의 일부로 원하시는것도 구현이 쉽게 될듯한데요.
목표시스템의 메모리, 디스크등의 사양에 따라 틀려지겠군요.
메시지패싱 미들웨어를 소개한 이유는 개인적으로 이쪽을 선호하기 때문입니다.
보다 많은 자료를 검토해보시지요.
관련링크 하나 소개해 드리면, http://www.middleware.org/
입니다.
목표 시스템의 사양에 따라, 다양한 미들웨어를 검토하실 수 있을것입니다.
방향성이 틀렸어도 양해를......
Re: 여러개의 device sync 맞추려는데 도와주세요
질문을 보다 상세히 해주시겠습니까?
------------------ P.S. --------------
지식은 오픈해서 검증받아야 산지식이된다고 동네 아저씨가 그러더라.
3개의 board가 있습니다.. 그런데 3개의 board에서 똑같
3개의 board가 있습니다..
그런데 3개의 board에서 똑같이 유지되어야 하는 topology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서 3개의 board에 같은 DB가 유지되어야 한다든지...)
이 topology는 단 2개의 variable로 결정되고요...
이것들은 주고 받는 기술에 대한 것이 궁금해서요...
특히 topology를 다른 모듈로 빼지 않고 각 board에서 유지하는 방법은 없나요?
이에 대한 답변이나 참조할만한 site/논문을 알려주세요
3개의 보드라함은 3대의 리눅스 운영체제가 동작하는 환경을 의미하나요?
3개의 보드라함은 3대의 리눅스 운영체제가 동작하는 환경을 의미하나요?
아니면 하나의 운영체제 내에 3개의 디바이스가 동작하는 환경인가요?
첫번째라면 분산시스템의 동기화를 고려해야하는 좀 어려운 문제군요.
2번째라면 단순하게 세마포를 사용해서도 구현할 수 있겠군요.
아마도 첫번째 질문인것 같은데 맞나요?
------------------ P.S. --------------
지식은 오픈해서 검증받아야 산지식이된다고 동네 아저씨가 그러더라.
[quote="mach"]3개의 보드라함은 3대의 리눅스 운영체제가 동
네 분산 시스템의 동기화를 의미하는 거였습니다
'분산 시스템'이란 말이 계속 생각 안 났었네요 ^^;
분산시스템의 동기화에 대한 얘기는 게시판에서 논의하기에는 어려운 주제인것
분산시스템의 동기화에 대한 얘기는 게시판에서 논의하기에는 어려운 주제인것
같습니다.
Fault Tolerant랑 같이 논의되어야 하는 상황이라면 더욱 어렵습니다.
이런 경우 떠올리는것이 미들웨어지요.
그래서, 저는 단지 몇가지 라이브러리를 소개하고자 합니다.
메시지패싱기반 미들웨어인 MPI 또는 PVM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만, 임베디드
시스템이라면 p4라는 라이브러리를 일단 떠올릴 수 있습니다.
이들은 분산병렬처리를 위한 것이지만, 다른 목적으로 사용도 가능합니다.
이들 기능의 일부로 원하시는것도 구현이 쉽게 될듯한데요.
목표시스템의 메모리, 디스크등의 사양에 따라 틀려지겠군요.
메시지패싱 미들웨어를 소개한 이유는 개인적으로 이쪽을 선호하기 때문입니다.
보다 많은 자료를 검토해보시지요.
관련링크 하나 소개해 드리면,
http://www.middleware.org/
입니다.
목표 시스템의 사양에 따라, 다양한 미들웨어를 검토하실 수 있을것입니다.
방향성이 틀렸어도 양해를......
------------------ P.S. --------------
지식은 오픈해서 검증받아야 산지식이된다고 동네 아저씨가 그러더라.
아닙니다.. 제가 아는 게 별로 없기 때문에 여러가지를 접해보는 것만으로
아닙니다.. 제가 아는 게 별로 없기 때문에 여러가지를 접해보는 것만으로도 도움이 됩니다. 신경써주셔서 감사합니다 ^^
댓글 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