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임서버에 관한 질문입니다.
글쓴이: yaongi0620 / 작성시간: 목, 2003/09/18 - 11:51오전
도메인 등록기관에 aa.co.kr의 1차 네임서버로 ns.bb.net 2차 네임서버로 ns1.aa.co.kr을 등록하였습니다.(ns.bb.net은 저의 서버에 회선을 임대해 주소 있는 업체의 네임서버입니다.)
원래는 ns.aa.co.kr이 1차 네임서버로 ns.higlobe.net이 2차 네임서버로 등록되어있었는데, ns.aa.co.kr 서버가 웹서버 전용으로 사용되면서 네임서버를 이전하게 된 것입니다.
그리고 ns1.aa.co.kr의 네임서버 conf와 zone 파일은 모두 예전의 1차 네임서버 것을 가져다 썼는데요... 뭐 일단은 문제가 없어보였는데, 해외에서 lookup을 할 때 문제가 생기더라구요. 특히 해외에서 보내는 메일에 네임 룩업 실패로 반송이 많이 된다고 합니다.
혹시 2차 네임서버의 conf에서 예전의 master로 해두었던 것들을 모두 slave로 바꾸어 주어야 하나요? 이것이 lookup에 결정적 장애 요인이 되는지 궁금합니다.
Forums:
registrar 에 등록한 1차,2차네임서버에 맞춰 그 순서대로ma
registrar 에 등록한 1차,2차네임서버에 맞춰 그 순서대로
master,slave 세팅을 하실 필요는 없습니다.
1차,2차라는 것은 fail-over 의 구분일뿐이지요.
예로 master 서버는 registrar 에 등록치 않고 slave 두대를 만들어
1,2차로 등록하는 경우도 있으니까요.
본론으로 들어가 국외망쪽에서 잘 찾지 못한다면 1,2차 네임서버정보가
변경된 것들이 해당 국외망 네임서버에 아직 반영이 되지 않았기때문일
경우가 많습니다.
TTL 값을 줄여서 세팅;반영해보세요.
또한 룩업이 안되는 쪽 서버가 사용하는 네임서버를 파악하여
그쪽서버를 이용해 nslookup 등으로 테스트를 해보세요.
또한 운영하시는 서버쪽에서도 cleaning-interval 옵션등을
이용하여 메모리캐쉬를 주기적으로 리셋시켜주시는 것도
좋은 방법 일겁니다.
네임서버는 전세계에 수없이 많지만 모든 네임서버가 다 제대로
세팅되어있는 것은 아니더라구요...
가장 좋은 방법은 네임서버정보를 변경하더라도 기존 것을 일정시간
유지하는 것이 좋을 겁니다. 물론 신규,기존서버의 네임서버값들은
sync 시킨채로요.
예.. 그래서 aa@philips.com이라는 이메일 주소를 사용하
예..
그래서 aa@philips.com이라는 이메일 주소를 사용하는 외국인 바이어가 메일을 보냈는데 안왔다하여, philips.com의 네임서버를 조회하여
ns1.ext.philips.com으로 nslookup을 해보니,
aa.co.kr을 치면
.....
- g.root-servers.net
192.112.36.4
- f.root-servers.net
192.5.5.241
- b.root-servers.net
128.9.0.107
- j.root-servers.net
192.58.128.3
- k.root-servers.net
193.0.14.129
- l.root-servers.net
198.32.64.12
- m.root-servers.net
202.12.27.33
.....
이런 식으로 조회가 나오든데요...
이건 잘못된 건 가요?
---- m( @.@)m -----------
댓글 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