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size를 구하는 공식이라면.. 데이터부의 크기를 말하는거 같은데요..
IP Protocol이든 TCP든 뭐든.. 헤더부와 데이터부로 대강 나뉠수 있지
않나요?? 그러면.. 그냥 헤더를 짤라내면 될텐데..
Dsize가 의미하는게 어떤 프로토콜의 데이터부 크기인지..
제 생각엔 아무래도 TCP프로토콜의 실제 데이터부의 크기를
얘기하는거 같군요.. 그러니.. IP 프로토콜에서 그냥 IP헤더를 빼면
정확한 크기가 안나올수도 있겠죠..Content 부분은 데이터부의
실질적인 데이터를 얘기하는거죠?? IP 프로토콜의 경우는 당연히
의미 없을테구요.. TCP 프로토콜에서 데이터부의 내용을
헥사코드나 아스키로 변환을 하던지.. 뽑아내면 될것 같군요..
그럼 즐플~
컴퓨터가 이해할수 있는 코드는 어느 바보나 다 작성할 수 있다. 좋은 프로그래머는 사람이 이해할 수 있는 코드를 짠다 - 마틴파울러
Dsize를 구하는 공식이라면.. 데이터부의 크기를 말하는거 같은데요..
Dsize를 구하는 공식이라면.. 데이터부의 크기를 말하는거 같은데요..
IP Protocol이든 TCP든 뭐든.. 헤더부와 데이터부로 대강 나뉠수 있지
않나요?? 그러면.. 그냥 헤더를 짤라내면 될텐데..
Dsize가 의미하는게 어떤 프로토콜의 데이터부 크기인지..
제 생각엔 아무래도 TCP프로토콜의 실제 데이터부의 크기를
얘기하는거 같군요.. 그러니.. IP 프로토콜에서 그냥 IP헤더를 빼면
정확한 크기가 안나올수도 있겠죠..Content 부분은 데이터부의
실질적인 데이터를 얘기하는거죠?? IP 프로토콜의 경우는 당연히
의미 없을테구요.. TCP 프로토콜에서 데이터부의 내용을
헥사코드나 아스키로 변환을 하던지.. 뽑아내면 될것 같군요..
그럼 즐플~
컴퓨터가 이해할수 있는 코드는 어느 바보나 다 작성할 수 있다. 좋은 프로그래머는 사람이 이해할 수 있는 코드를 짠다 - 마틴파울러
댓글 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