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 redhat 9.0 버젼을 쓰고 있습니다.
윈도 파일시스템을 마운트하여 쓰고 있는데.
한글 이름으로 된 파일들은..
도무지 관리하기가 너무 힘드네요.
파일 카피도 안되고..뭔지도 모르겠고..
한글부분은 ???.txt 와 같은 형식으로 나오는데.
해결할수 있는 방법은 없는건지 알고싶습니다.
mount할때 iocharset=cp949로 하면 됩니다. 자세한건 검색하면 무지 많이 나옵니다.
/etc/fstab
파일에
/dev/hda# mount될 dir 포맷(ex.vfat) iocharset=cp949,default 0 0
으로 추가하면.. 자동mount도 되고.. 한글파일도.. 안깨지고..나오는걸로 알고 있습니다.. :roll:
나이는 단지 숫자에 불과한것이겠죠.;
ㅡㅡ;; 영구적인 해결책인 위에분들이 답해 주셨구.
일시적인 방법은 역슬러시 \ 하나에 물음표 하나씩 \? 씩으로 물음표 갯수만큼 적어 주시면 됩니다. 물음표가 3개면 \?\?\? 이런씩으로요...
저 근데 리눅스 상에서 한글파일을 전송 받았는데 그 때 ??? 나오면 어떻게 하지요? 그 때도 isocharset=cp949라 하나요? 궁금.
--------------------------------- 나는 오늘도 달립니다.
텍스트 포맷에 대한 자세한 정보
<code>
<blockcode>
<apache>
<applescript>
<autoconf>
<awk>
<bash>
<c>
<cpp>
<css>
<diff>
<drupal5>
<drupal6>
<gdb>
<html>
<html5>
<java>
<javascript>
<ldif>
<lua>
<make>
<mysql>
<perl>
<perl6>
<php>
<pgsql>
<proftpd>
<python>
<reg>
<spec>
<ruby>
<foo>
[foo]
mount할때 iocharset=cp949로 하면 됩니다.자세한건 검
mount할때 iocharset=cp949로 하면 됩니다.
자세한건 검색하면 무지 많이 나옵니다.
/etc/fstab파일에/dev/hda# mount될
/etc/fstab
파일에
/dev/hda# mount될 dir 포맷(ex.vfat) iocharset=cp949,default 0 0
으로 추가하면.. 자동mount도 되고.. 한글파일도.. 안깨지고..나오는걸로 알고 있습니다.. :roll:
나이는 단지 숫자에 불과한것이겠죠.;
ㅡㅡ;; 영구적인 해결책인 위에분들이 답해 주셨구.일시적인 방법은
ㅡㅡ;; 영구적인 해결책인 위에분들이 답해 주셨구.
일시적인 방법은 역슬러시 \ 하나에 물음표 하나씩 \? 씩으로 물음표 갯수만큼 적어 주시면 됩니다.
물음표가 3개면 \?\?\? 이런씩으로요...
저 근데 리눅스 상에서 한글파일을 전송 받았는데 그 때 ??? 나오면 어떻게 하지요? 그 때도 isocharset=cp949라 하나요?
궁금.
---------------------------------
나는 오늘도 달립니다.
댓글 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