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버관리를 하는데.. 이상하더라고요. 내부에서만 인식되는 IP

rwim의 이미지

학교 내에서 서버를 사용하는 유저입니다.
제 개인 서버 IP 가 XXX.YYY.ZZZ.103 이고,
게이트웨이는 XXX.YYY.ZZZ.254 입니다.
물론.. XXX.YYY.ZZZ는 저희 학교의 학생회관 내부의 IP주소입니다.

그래서 학생회관 내부 뿐 아니라 학교 내부가 하나의 네트워크인 형태인데..
외부에서 제 서버 IP로 접속하려고 하면 접속도 안되고
ping 을 때려도 타임아웃만 나옵니다.
헌데, XXX.YYY.ZZZ.100 이라는 내부의 다른 서버로 접속하려고 하면
접속이 아주 잘되고.. SSH(or 텔넷)로 100서버에 접속을 한 다음에
그 서버 내부에서 ping XXX.YYY.ZZZ.103 을 입력하면
내부에서는 타임아웃이 안뜨고 아주 잘 된다고 그러더라고요.

여기까지는 일반적으로 생길 수 있는 문제이긴 한데..
더 이상한 일이 생깁니다.

외부에서 ping XXX.YYY.ZZZ.103 -t 해놓고 무한 핑테스트 해놓으면
계속 타임아웃만 반복되겠죠.
그런데 100 을 접속해서 100 내부에서 ping 을 103서버로 때려서
되는 순간, 외부에서도 타임아웃만 뜨던게 갑자기 Reply 메시지로 바뀌면서
되더라고요.
컴퓨터를 껐다 다시 키면 다시 안되고요.. 외부에서 말입니다.

도대체 어떻게 된겁니까..?
내부에서만 되고.. 외부에서는 안되다가 내부에서 된다는 인식만 하면 외부에서도 그 순간부터 되고..

그럼.. 환경은 대충 다음과 같습니다.
Server : Redhat Linux 7.2 (Kernel 2.4.2-12 <- 확실친 않지만 대략)
웹서버, 도메인서버, 텔넷-SSH 가능, FTP 가능.

설마 DNS서버 구동하는 Bind 때문인가요?
학교 내에서 쓰는 서버의 고정 IP주소는 rrrrrrr.sss.ac.kr 이런 형태의 DNS주소가 배당된 채로 사용이 되지만,
제서버는 위 형태의 DNS 주소를 사용하면서도, 제가 gabia에 개별신청한
도메인을 통해서 따로 사용하는 DNS 주소가 있습니다.
(물론 ping 등을 통해서 서버사용이 가능하면 웹서버의 virtualhost나, bind나 도메인 관련 기타 등등 프로그램은 아주 잘 돌아갑니다.)
그런데.. 설마 DNS 주소 두개 쓴다는 이유로 ping이 안되는 경우도 있나요..

답변 부탁드립니다.

ihavnoid의 이미지

외부에서 traceroute를 해서 어떤 output이 나오는 지 좀 봤으면 좋겠습니다.

ps : 경우에 따라서는 어이없게 랜케이블을 교체해서 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저의 경우에는 예전에 외부에서 접속이 전혀 안되다가, 내부에서 외부로 한번 접속을 하고 나오고 나서는 외부에서 잘 접속이 된 경우도 있었습니다. 결국 랜케이블을 교체하고 나서 모든 문제가 사라졌고요.. -_-

Consider the ravens: for they neither sow nor reap; which neither have storehouse nor barn; and God feedeth them: how much more are ye better than the fowls?
Luke 12:24

rwim의 이미지

지금은 또 됩니다. 사실 100 서버를 접속해서 한 다음에 103 서버로 접속했기 때문에 되는 것입니다만..

어쨌든 traceroute 명령어 뿌려드립니다.
[root@ns root]# traceroute [제 도메인]
traceroute to [제 도메인] (203.253.XX.103), 30 hops max, 38 byte packets
1 211.47.65.254 (211.47.65.254) 1.213 ms 0.180 ms 0.168 ms
2 211.200.9.133 (211.200.9.133) 0.389 ms 0.580 ms 0.409 ms
3 211.117.39.166 (211.117.39.166) 0.562 ms 0.500 ms 0.446 ms
4 128.134.40.41 (128.134.40.41) 1.085 ms 1.057 ms 0.974 ms
5 220.73.150.17 (220.73.150.17) 0.984 ms 1.000 ms 0.990 ms
6 218.145.33.1 (218.145.33.1) 1.194 ms 1.183 ms 1.131 ms
7 168.126.228.232 (168.126.228.232) 1.219 ms 1.212 ms 1.212 ms
8 168.126.232.10 (168.126.232.10) 1.651 ms 1.539 ms 1.722 ms
9 203.253.30.244 (203.253.30.244) 2.880 ms 2.200 ms 2.816 ms
10 203.253.30.253 (203.253.30.253) 3.322 ms 3.100 ms 2.846 ms
11 [학교에서 배정한 도메인] (203.253.XX.103) 3.162 ms 3.241 ms 2.891 ms

별 도움은 안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만..
외부에서 서버 인식을 못할때의 traceroute 를 뿌려줘야 되는지라 말이지요.
100서버에 traceroute 를 뿌려줬을 때의 결과는 당연히 11번만 빼고 똑같이 나옵니다. 현재는 외부에서 인식이 되는 상태기 때문에 말이지요..

참고로 XX는.. 위의 30번이 아닌 다른 임의의 번호입니다.

- 사랑이 언제나 있는 아름다운 세상을 꿈꾸는 그날까지.. real world is mine -

댓글 달기

Filtered HTML

  • 텍스트에 BBCode 태그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URL은 자동으로 링크 됩니다.
  • 사용할 수 있는 HTML 태그: <p><div><span><br><a><em><strong><del><ins><b><i><u><s><pre><code><cite><blockquote><ul><ol><li><dl><dt><dd><table><tr><td><th><thead><tbody><h1><h2><h3><h4><h5><h6><img><embed><object><param><hr>
  • 다음 태그를 이용하여 소스 코드 구문 강조를 할 수 있습니다: <code>, <blockcode>, <apache>, <applescript>, <autoconf>, <awk>, <bash>, <c>, <cpp>, <css>, <diff>, <drupal5>, <drupal6>, <gdb>, <html>, <html5>, <java>, <javascript>, <ldif>, <lua>, <make>, <mysql>, <perl>, <perl6>, <php>, <pgsql>, <proftpd>, <python>, <reg>, <spec>, <ruby>. 지원하는 태그 형식: <foo>, [foo].
  • web 주소와/이메일 주소를 클릭할 수 있는 링크로 자동으로 바꿉니다.
댓글 첨부 파일
이 댓글에 이미지나 파일을 업로드 합니다.
파일 크기는 8 MB보다 작아야 합니다.
허용할 파일 형식: txt pdf doc xls gif jpg jpeg mp3 png rar zip.
CAPTCHA
이것은 자동으로 스팸을 올리는 것을 막기 위해서 제공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