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사에서 리눅스 커널 모듈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커널 소스 자체를 고치는게 아니라 커널에 얹을 수 있는 모듈을 프로그래밍하 고 있습니다.
그런데 커널 모듈은 반드시 GPL을 따라야만 하는지 궁금합니다.
답변 주시면 고맙겠습니다. 가능하다면 관련 자료도 좀... )
모듈을 새로 처음 부터 개발한거라면 gpl 안따라도 될것 같은데 ..
gpl 잘아시는 분 계신가요??
그러나, 원래의 커널 소스트리와 아주 작은 일부분이라도 이용한다면,
GPL을 따라야 합니다. 이게 좀 애매한데...
그러니까 이렇게 생각하시면 됩니다.
원래의 원본 커널에서 완전히 독립적인 디바이스 드라이버 같은 경우는,
공개 안해도 그다지 의심(?)을 안받을수 있으나,,
이럴려고 하는 회사가 주변에 많아서 얘기 드립니다.
특히 보안 솔루션 만드는 회사들이 그렇더군요..
커널의 TCP/IP 네트웍 스택을 고친다던가, 아니면 iptables 의 코드을 수정해 서 방화벽 기능을 좀 더 최적화 시킨다던가, 아니면 어쨋건 기존의 있던 기능 을 수정하거나 개선시키는 모듈같은 기능을 하는 경우라면,
반드시! GPL을 따라야합니다.
GPL을 국내 기업들이 폼(?)으로만 아는 경우가 많은데,,
엄연한 라이센스입니다.
아직 이 문제가 안터졌는데 언젠간 곧 법적문제로까지 가리라 생각합니다.
PS 한글 번역된 GPL이 FSF에 공식 인증을 받았는지 아시는분?? 이거 헷갈려 서.. FSF에 인증을 공식적으로 받아야 국내법에도 적용할수 있을텐데..
그거, 모듈 코드를 완전히 새로 짜는 거라면 GPL 상관없을 겁니다.
텍스트 포맷에 대한 자세한 정보
<code>
<blockcode>
<apache>
<applescript>
<autoconf>
<awk>
<bash>
<c>
<cpp>
<css>
<diff>
<drupal5>
<drupal6>
<gdb>
<html>
<html5>
<java>
<javascript>
<ldif>
<lua>
<make>
<mysql>
<perl>
<perl6>
<php>
<pgsql>
<proftpd>
<python>
<reg>
<spec>
<ruby>
<foo>
[foo]
Re: 커널 모듈의 라이센스
모듈을 새로 처음 부터 개발한거라면 gpl 안따라도 될것 같은데 ..
gpl 잘아시는 분 계신가요??
Re: 완전히 따로 띨수 있다면 GPL이 아닙니다.
그러나, 원래의 커널 소스트리와 아주 작은 일부분이라도 이용한다면,
GPL을 따라야 합니다. 이게 좀 애매한데...
그러니까 이렇게 생각하시면 됩니다.
원래의 원본 커널에서 완전히 독립적인 디바이스 드라이버 같은 경우는,
공개 안해도 그다지 의심(?)을 안받을수 있으나,,
이럴려고 하는 회사가 주변에 많아서 얘기 드립니다.
특히 보안 솔루션 만드는 회사들이 그렇더군요..
커널의 TCP/IP 네트웍 스택을 고친다던가, 아니면 iptables 의 코드을 수정해
서 방화벽 기능을 좀 더 최적화 시킨다던가, 아니면 어쨋건 기존의 있던 기능
을 수정하거나 개선시키는 모듈같은 기능을 하는 경우라면,
반드시! GPL을 따라야합니다.
GPL을 국내 기업들이 폼(?)으로만 아는 경우가 많은데,,
엄연한 라이센스입니다.
아직 이 문제가 안터졌는데 언젠간 곧 법적문제로까지 가리라 생각합니다.
PS 한글 번역된 GPL이 FSF에 공식 인증을 받았는지 아시는분?? 이거 헷갈려
서.. FSF에 인증을 공식적으로 받아야 국내법에도 적용할수 있을텐데..
Re^2: 커널 모듈의 라이센스
그거, 모듈 코드를 완전히 새로 짜는 거라면 GPL 상관없을 겁니다.
댓글 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