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문] 네스팟 무선랜 인식은 했는데, 설정좀 도와주세요.
여기 검색을 해보니깐 www.linux-wlan.org 에 드라이버랑 있다고 해서
가서 받아서 설명서대로 설치를 했거든요.
그런데 그 설명서에는 네스팟 같이 ip할당 받는 것이 아니라 ip지정을 해주는
방식으로 설명이 되어 있더라구요. 문제는 제가 리눅스를 이제 바로 설치해서
좀 써보려고 하는 중이므로 하나도 모른다는게 문제죠. -_-;;
일단 설정하고 컴파일 및 설치도 에러 없이 잘 되더군요.
[root@localhost root]# ifconfig wlan0
wlan0 Link encap:Ethernet HWaddr 00:30:0D:02:FA:A6
BROADCAST MULTICAST MTU:1500 Metric:1
RX packets:0 errors:0 dropped:0 overruns:0 frame:0
TX packets:0 errors:0 dropped:0 overruns:0 carrier:0
collisions:0 txqueuelen:100
RX bytes:0 (0.0 b) TX bytes:0 (0.0 b)
[root@localhost root]# iwconfig
lo no wireless extensions.
wlan0 IEEE 802.11-b ESSID:"NESPOT" Nickname:"NESPOT"
Mode:Managed Frequency:2.412GHz Access Point: 00:30:0D:01:1D:51
Bit Rate:2Mb/s Tx-Power:2346 dBm
Retry min limit:8 RTS thr:off Fragment thr:off
Encryption key:off
Link Quality:88/92 Signal level:-48 dBm Noise level:-100 dBm
Rx invalid nwid:0 Rx invalid crypt:0 Rx invalid frag:0
Tx excessive retries:0 Invalid misc:0 Missed beacon:0
[root@localhost root]#
이렇게 나오더군요. 사실 ifconfig 랑 iwconfig 도 주워들어서 쓴거지
알고 쓴 명령어도 아니구요. 쩝. -_-;;;
무선랜은 네스팟 가입시 같이 준 MMC의 1000USB 로 prism칩을 쓴거구요.
아, 제가 아무것도 모른다고 입에다 떠먹여달라고 하는 것이 절대 아니구요.
어느정도 설명을 해 주시면 제가 필요한 내용은 알아서 설치해야죠.
제 나름대로 이것저것 막 해보긴 했습니다만 강제로 IP할당하고 게이트웨이
할당하고 해봐야 DNS설정할 줄도 모르고.. dhcp로 어떻게 할지도 모르겠고..
참. 중요한걸 말씀 안드렸네요.
레드햇9.0배포본이구요 커널은 2.4.20-8이던가.. 그러더군요.
어떤분이 pcmcia 방식 카드로 성공하셔서 그거 보고
/etc/sysconfig/networking/devices 에 ifcfg_wlan0 을 추가했더니,
네트웍 설정프로그램이 에러나고 그냥 끝나더군요.
그렇다고 추가한거 다시 지우고 실행해도 device에는 아무것도 없구요.
너무 길어졌네요. 혹시 아시는분 조언 부탁드립니다.
지나치지 마시구요. 저도 리눅스 꼭 쓰고싶어요~ T_T
린스팟 홈페이지에는 가보셨는지요?
http://linspot.kldp.net/
리눅스에서 네스팟 접속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프로젝트입니다. :o
--
즐 Tux~
네, 린스팟도 가봤죠^^;
여기 게시판 내용은 전부 검색은 해봤구요.
린스팟 프로젝트는 기존 인증방식(아이디/패스워드)을 이용하는건데,
그게 윈도즈용으로만 있어서 리눅스용으로 만들어주신 걸로 알고 있구요.
전 MAC 어드레스 방식(랜카드 MAC만 맞으면 IP할당)으로 바꿨거든요.
(랜장치가 제대로 되어야 아이디 인증방식도 작동을 하겠죠,
사실 리눅스 쓰고 싶어서 MAC인증 방식으로 바꿨거든요.)
윈도즈에서도 별도의 접속프로그램없이 랜드라이버만 설치하면,
자동으로 주소 할당받아서 인터넷 접속할 수 있구요.
질문 내용을 보시면 아시겠지만 드라이버만 설치했구요.
MAC 어드레스도 제대로 나오고 별다른 내용 입력도 안했는데,
SSID 가 NESPOT 으로 잘 나오고 있구요.
몇가지만 설정해주면 될 것 같은데, 제가 거의 윈도즈에만 중독(?)된데다가,
리눅스는 써보질 못해서 정말 막막하네요.
혹시 도움이 될만한 문서를 아시면 알려주시면 정말 감사하겠습니다.
(KLDP문서는 다 찾아봤구요.)
꾸뻑~
from the shores of hell
제가 조금 늦었네요.
안녕하세요.
저 역시 RedHat 9.0환경에서 NESPOT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RedHat 9.0의 경우 굳이 모듈을 컴파일 하지 않고서 'WAVECAST
MW1000PCM' 무선 랜카드를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이 있는데 이미
컴파일 하셨다니 그 다음부터 하겠습니다.
보니까 LAN 카드는 정상적으로 인식된것 같네요.
그 다음에는 X-Window 환경에서 'redhat-config-network'를
실행시키십시오. 만일 슈퍼유저가 아니라면 물어보는 슈퍼유저 비밀번호를
입력하시고요.
다음에 나오는 네트워크 설정창에서 '새로 만들기'를 누르시면 새로운
창이 나타날겁니다.
여기에서 '무선 연결'을 선택한후 창 하단의 '앞으로' 버튼을 누르시면
컴파일하여 인식시킨 랜카드의 목록이 나타날겁니다.
랜카드를 선택한후 '앞으로' 버튼을 누르시면 또다른 창이 나타나는데
여기에서 '모드'를 '자동'으로 선택하고(이때 윈도우가 멈춰도 당황하지말고
기다리세요) 네트웍명의 '자동'을 '지정'으로 바꾸고 'NESPOT'라고
쳐 넣으신 후 '앞으로' 버튼을 누르세요
드디어 마지막입니다. 마지막으로 나오는 '네트워크 셋팅' 창에서
'IP 주소 설정을 자동으로 얻기'를 선택하고 'dhcp'를 선택하고
마지막으로 '앞으로' 버튼을 누르시면 '설정 사항' 황인 창이 나타고
설정이 끝납니다. 여기서 '적용' 버튼을 누르시고 인터넷을 사용하시면
됩니다.
그럼. 잘 되기를 빌며 이만..
답변 고맙습니다. ^^;
초보인 제가 확실히 알아볼 수 있도록 너무 자세히 써주셨네요.
정말 감사합니다.
그런데 1000USB를 쓰시는분은 아무래도 안계신가보네요.
사실 이런 사태가 올까봐 PCMCIA방식으로 받으려고 했었는데,
메가패스 아저씨가 제가 없는 사이에 USB로 꼽아놓고 가버려서.. -_-;;;
ifconfig, iwconfig 에 나타나는 장치가 readhat-config-network에는
안나타나네요. 역시 PCMCIA와 USB의 차이인 듯 싶기도 하고..
아무래도 USB장치 관련 글을 찾아보면 해답이 나올지도 모르겠네요.
하여튼 답변 너무너무 고맙습니다~
from the shores of hell
헉...
이런... PCMCIA 방식이 아니셨군요. :oops:
제가 좀더 자세히 읽어볼 걸 제가 괜히 cleandung님 시간 낭비 하시게 만든건
아닌지 모르겠습니다.
저도 USB 방식에 대해서 찾아보고 좋은 소식이 있으면 연락드리겠습니다.
그럼..
linux-wlan.org면 prism3나 2.5겠군요.그건 li
linux-wlan.org면 prism3나 2.5겠군요.
그건 linux-wlan.org에서 찾아보실 수 있을텐데요...
그리고 설치하신 드라이버 소스의 readme에도 있을 겁니다.
전 prism2.5 usb를 깔아봤었는데요. 별로 어렵지 않았던 기억이 있습니다. 제가 알기론 prism3도 칩셋은 다르지만 linux-wlan.org에서 같은 드라이버로 서포트 됩니다.
지금은 사용하던 시스템을 밀어버려서 찾아볼 수가 없네요... (예전에 게시판에 올렸던 글 중에 있을 지도..)
iwconfig등은 사용한 적 없고요,
만약 이게 맞다면... {{{install하면 /etc/init.d./wlan이 생기지 않나요?
/etc/init.d/wlan start 하면 될 것도 같은데요..}}}
아니면 readme를 찾아보시기 바랍니다.
제가 기억하기로는 이렇게 되어있습니다.
뭔가 wlan을 시작시키는 스크립트가 있습니다. 그리고 기본 config파일이 있습니다.
이것을 복사해서 다른 이름으로 만드시고(아마 뒤에 이름만 더 붙이면 될 겁니다. wlan-cfg를 wlan-cfg-mine 이런 식으로요.
그리고 /etc/의 wlan이었나 wlan.config이었나 파일을 열어서 config 파일에 쓴 이름으로 설정 파일을 써주면 됩니다. 설정=mine 이런식으로요. bss와 기타 값들은 윈도에서 할때와 같이 설정해주면됩니다.
회사의 제 리눅스 컴에 소스코드는 있는데 지금 집에서는 접속이 안되네요.. (답변드릴려고 소스까지 받기는 좀..) 혹시 readme를 읽어봐도 이해가 안가시면 재질문 해주세요. 한번 찾아보지요.
rommance.net
아.. 답변 고맙습니다..
글씨 쓰려니깐 한글이 안나와서 한참 왜 안나오지 안나오지 했는데,
부팅할때마다, 음...? 아미 설정창? 이게 왜 설정했는데 부팅할때마다
나오는거야~ 귀찮게~ 하면서 창을 닫았는데, 닫으면 안되는거였군요. -_-;;
어쨌든 금방 아미가 떠올라서 다행이네요. ^^;;
이렇게들 많이 답변을 달아주시다니, 정말로 고맙습니다.
지금 모질라입니다. ^_________________^;;
그런데 이게.. 언제 또 안될지 모르겠네요.
랜이 검색이 안되서 편법으로 pegasus usb 를 선택했더니,
/etc/sysconfig/networking/profiles/default/ifcfg-eth0 가 생기더군요.
죽어도 설정창에서는 wlan0 로 바꿀 수가 없었구요.
그래서 이걸 텍스트에디터로 편집해서
(리눅스에 vi, emacs만 있는줄 알았는데, 그냥 노트패드 비슷한것도 있네요.)
DEVICE=wlan0 로 바꿔버리고 ESSID=NETPOT 바꾸고
네트웍 설정창 다시 띄어서 활성화했더니 활성되더군요.
그래서 ping 을 했더니 66% lost -_-;;; 다시 껐다 켰더니,
설정창에 비활성화에 ifconfig wlan0 하면 장치가 없다고 나오고...
그래서 랜을 뺐다 꼈더니 다시 활성화... 0% lost 인데 되다 안되다 그럽니다.
설정창에서 바꾸려면 wlan0 가 다시 eth0으로 바껴서 바로 안되고,
에디트로 바꿔줘야 되구요..
하여간 제가 이것저것 막 해서, 어떤걸 어떤 순서로 해야 제대로 되는지
모르겠습니다. 쩝..
어쨌든 답변 너무너무 감사하구요. 꾸뻑~
혹시 지석님 나중에 시간 되시면 예전에 하셨던거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껐다 켜면 다시 안되려나.. -_-a
고맙습니다 여러분~
from the shores of hell
Re: 헉...
무슨 말씀을~ 도움 많이 됐어요~ 그런 말씀 하지 마세요~ ^^
from the shores of hell
안녕하세요무선랜 세팅한 시스템을 찾아서 설정을 가져와 봤습니다.0
안녕하세요
무선랜 세팅한 시스템을 찾아서 설정을 가져와 봤습니다.
0.1.6을 쓰다가 0.2.0으로 업한 거라 설정 파일이 중복되어있었습니다만.. 제 기억에 의지해서 그중에 맞는 것을 골라 봤습니다.
이렇게, make install하고 나면 /etc/wlan 아래에 세가지 파일이 생깁니다.
할 일은 wlan.con를 읽어보시면 되겠지만 간단히 설명드리면,
wlan.conf는 기본 설정과 함께 어떤 세부 설정 파일을 쓸 지 정하는 파일이고
wlancfg-DEFAULT가 실제 설정 파일의 예제입니다.
간단히 wlan.conf의 snippet을 써보면
주석으로 각 항목이 설며되어있고요, WLAN_DEVICES에서 wlan device 이름이 wlan0다,라고 얘기해주고,
가장 중요한 게 SSID_wlan0 입니다.
저는 myzone으로 설정했습니다. 아시겠지만 이 ssid를 가지고, 네트웍에 연결하지요
그리고 자세한 설정은 자신이 SSID로 정해준 문자열 이름으로 wlan-cfg-myzone 라는 파일을 만들어 에디트하면 됩니다.
아까 보셨듯이 wlan-cfg-DEFAULT 라는 파일이 있었지요? 그 파일을 카피해서 필요한 부분만 바꾸시면 됩니다.
snippet을 보여드리면
중요한 부분은 IS_ADHOC입니다. 이것이 y면 adhoc(=피어to피어)이고 n이면 infrastructure(AP에 접속)모드입니다. 네스팟을 쓰시면 당연히 n으로 해야겠죠.
저는 늘 adhoc으로 사용해서 infrastructure모드로 하기는 안해봤습니다.
하지만 WEP같은 암호 쪽 빼고는 거의 이설정 대로 하면 될 것입니다.
이렇게 해주시고
/etc/rc.d/init.d/wlan start 해주시면 될 것입니다.
rommance.net
댓글 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