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도 코딩을 하다보면 가독성을 많이 중시하기 때문에 불필요하더라도 보기에
편하고 수식의 의미를 알아보기 쉽게 할 수 있다면 괄호연산자를 많이 사용하는
편입니다만.. 제가 알고 싶은것은.. return (-1);이라는 코드가 이 함수를 호출
하는쪽에서 어떤 의미가 있느냐는 것입니다.. 단지 가독성의 의미만 가질 뿐인지
아니면 저 괄호연산자가 해당 함수를 호출하는 쪽에 어떤 영향을 미치게 되는지
그것이 궁금합니다.
매크로 함수의 경우 수식이 코드 안에 그대로 전개되기 때문에 전체 수식을
괄호연산자로 묶게 됩니다만.. 일반 함수에서 왜 저렇게 사용하는지 모르겠
습니다... 누가 시원하게 답변 좀 해주세요.
저도 코딩을 하다보면 가독성을 많이 중시하기 때문에 불필요하더라도 보기에
편하고 수식의 의미를 알아보기 쉽게 할 수 있다면 괄호연산자를 많이 사용하는
편입니다만.. 제가 알고 싶은것은.. return (-1);이라는 코드가 이 함수를 호출
하는쪽에서 어떤 의미가 있느냐는 것입니다.. 단지 가독성의 의미만 가질 뿐인지
아니면 저 괄호연산자가 해당 함수를 호출하는 쪽에 어떤 영향을 미치게 되는지
그것이 궁금합니다.
매크로 함수의 경우 수식이 코드 안에 그대로 전개되기 때문에 전체 수식을
괄호연산자로 묶게 됩니다만.. 일반 함수에서 왜 저렇게 사용하는지 모르겠
습니다... 누가 시원하게 답변 좀 해주세요.
가독성 때문이라니까요.....
보통 C는 함수로 구성된 언어로 대표되죠?
return( x );
이렇게 쓰는거는 함수처럼 보이는 점에서 좋아보이죠.
다른 이유는 없는것으로 압니다.
case 1:
이런것도
case (1):
이렇게 쓰는 사람도 있습니다.
그냥 자유로운 문법에서 오는 통일감을 만들기 위해서....
가독성면에서 음수는 괄호를 쳐줍니다.그리고 이런경우 있죠?
가독성면에서 음수는 괄호를 쳐줍니다.
그리고 이런경우 있죠?
1 + -1
이것을 차라리
1 - 1 로 해주는것도 좋지만
1 + (-1)
이렇게 해주면 이해가 편하죠...
저도 코딩을 하다보면 가독성을 많이 중시하기 때문에 불필요하더라도 보기에
저도 코딩을 하다보면 가독성을 많이 중시하기 때문에 불필요하더라도 보기에
편하고 수식의 의미를 알아보기 쉽게 할 수 있다면 괄호연산자를 많이 사용하는
편입니다만.. 제가 알고 싶은것은.. return (-1);이라는 코드가 이 함수를 호출
하는쪽에서 어떤 의미가 있느냐는 것입니다.. 단지 가독성의 의미만 가질 뿐인지
아니면 저 괄호연산자가 해당 함수를 호출하는 쪽에 어떤 영향을 미치게 되는지
그것이 궁금합니다.
매크로 함수의 경우 수식이 코드 안에 그대로 전개되기 때문에 전체 수식을
괄호연산자로 묶게 됩니다만.. 일반 함수에서 왜 저렇게 사용하는지 모르겠
습니다... 누가 시원하게 답변 좀 해주세요.
s(˘∼˘*)z,·´″"`°³о$ √(´∀`√)... (˘ヘ˘ㆀ)a
[quote="xjiwoox"]저도 코딩을 하다보면 가독성을 많이 중시하
가독성 때문이라니까요.....
보통 C는 함수로 구성된 언어로 대표되죠?
return( x );
이렇게 쓰는거는 함수처럼 보이는 점에서 좋아보이죠.
다른 이유는 없는것으로 압니다.
case 1:
이런것도
case (1):
이렇게 쓰는 사람도 있습니다.
그냥 자유로운 문법에서 오는 통일감을 만들기 위해서....
댓글 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