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문은 패킷을 받아서..그냥 send를 하면 되는데 왜 wfds를 셋팅해서 그기서 send를 하는지 궁금합니다.
아마도 non-blocking 소켓을 쓰나 봅니다. ^^, 논 블록일 경우, 처음에는
그냥 send 를 합니다. 단 이게 EWOULDBLOCK 에 걸려서, 센드 버퍼를
사용할 수 없을 때는 보낼 수 가 없게 되죠. 이럴 경우, select 에서 wfds 가
설정되어 있으면, 센드 버퍼가 비게 될 때, 알려주게 됩니다. 그 때, 보내게 되죠.
아마, 그냥은 반응하지 않는 걸로 알고있습니다.(이 부분은 확실하지 않습니다. ^^ 그럼 고운 하루.)
========================= CharSyam ^^ --- 고운 하루 =========================
TCP 소켓의 경우를 얘기하시는 것 같네요. 일단, 결론부터 말하자면 "쓰기 가능" 해지는 순간이 있기 때문입니다.
TCP는 무대뽀로 데이터를 보낼 수 있는 게 아니라, 수신 측 버퍼에서 받아 들일 수 있을 만큼만 보냅니다. 이런 걸 flow control 이라고 하는데, 자세한 건 프로토콜 관련 부분을 공부하셔야 합니다.
사실, 소켓이 blocking mode에서 동작하고 있다면, 원하는 만큼을 다 보낼 때까지 블록시키는 것이 일반적이기 때문에, "쓰기 가능" 시점은 그다지 사용할 일이 없는 것일 뿐입니다.
그렇구나.. 윈도우 소켓만 하다가 너무 막히네요.. 아..그리고 send할때..4096바이트가 넘으면 어떻게 해야하나요?
TCP/UDP헤더는 패킷의 길이를 2bytes (unsigned short)로 표현합니다.
그러니까 65535bytes(해더길이 포함) 만큼 전송이 가능합니다.
그런데....
라우터나 각 컴에서 한번에 전송할 수 있는 패킷의 크기가 정해저 있습니다.
MTU(Maximum Transfer Unit)라고 하는 수치인데 보통은 1500bytes죠.
저 같은 경우는 계산하기 편하게 1024씩 잘라서 보냅니다.
가끔은 밥을 굶어도 살 수 있다.
아..그리고 send할때..4096바이트가 넘으면 어떻게 해야하나요?
------------------ P.S. -------------- 지식은 오픈해서 검증받아야 산지식이된다고 동네 아저씨가 그러더라.
텍스트 포맷에 대한 자세한 정보
<code>
<blockcode>
<apache>
<applescript>
<autoconf>
<awk>
<bash>
<c>
<cpp>
<css>
<diff>
<drupal5>
<drupal6>
<gdb>
<html>
<html5>
<java>
<javascript>
<ldif>
<lua>
<make>
<mysql>
<perl>
<perl6>
<php>
<pgsql>
<proftpd>
<python>
<reg>
<spec>
<ruby>
<foo>
[foo]
Re: select에서 wfds를 사용하는 이유를 알고 싶습니다.
아마도 non-blocking 소켓을 쓰나 봅니다. ^^, 논 블록일 경우, 처음에는
그냥 send 를 합니다. 단 이게 EWOULDBLOCK 에 걸려서, 센드 버퍼를
사용할 수 없을 때는 보낼 수 가 없게 되죠. 이럴 경우, select 에서 wfds 가
설정되어 있으면, 센드 버퍼가 비게 될 때, 알려주게 됩니다. 그 때, 보내게 되죠.
아마, 그냥은 반응하지 않는 걸로 알고있습니다.(이 부분은 확실하지 않습니다. ^^ 그럼 고운 하루.)
=========================
CharSyam ^^ --- 고운 하루
=========================
TCP 소켓의 경우를 얘기하시는 것 같네요. 일단, 결론부터 말하자면 "
TCP 소켓의 경우를 얘기하시는 것 같네요. 일단, 결론부터 말하자면 "쓰기 가능" 해지는 순간이 있기 때문입니다.
TCP는 무대뽀로 데이터를 보낼 수 있는 게 아니라, 수신 측 버퍼에서 받아 들일 수 있을 만큼만 보냅니다. 이런 걸 flow control 이라고 하는데, 자세한 건 프로토콜 관련 부분을 공부하셔야 합니다.
사실, 소켓이 blocking mode에서 동작하고 있다면,
원하는 만큼을 다 보낼 때까지 블록시키는 것이 일반적이기 때문에, "쓰기 가능" 시점은 그다지 사용할 일이 없는 것일 뿐입니다.
감사합니다..
그렇구나..
윈도우 소켓만 하다가 너무 막히네요..
아..그리고 send할때..4096바이트가 넘으면 어떻게 해야하나요?
[quote]그렇구나.. 윈도우 소켓만 하다가 너무 막히네요..
TCP/UDP헤더는 패킷의 길이를 2bytes (unsigned short)로 표현합니다.
그러니까 65535bytes(해더길이 포함) 만큼 전송이 가능합니다.
그런데....
라우터나 각 컴에서 한번에 전송할 수 있는 패킷의 크기가 정해저 있습니다.
MTU(Maximum Transfer Unit)라고 하는 수치인데 보통은 1500bytes죠.
저 같은 경우는 계산하기 편하게 1024씩 잘라서 보냅니다.
가끔은 밥을 굶어도 살 수 있다.
[quote]아..그리고 send할때..4096바이트가 넘으면 어떻게 해
님이 고민하지 않아도 TCP인 경우 운영체제가 알아서(보낼만큼 자르거나 붙이거나해서)보내줍니다.
정확히는 운영체제 내부의 통신모듈의 특히 TCP/IP프로토콜스택에서 해주지만요.
------------------ P.S. --------------
지식은 오픈해서 검증받아야 산지식이된다고 동네 아저씨가 그러더라.
댓글 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