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의 링크에 나와 있는 것에 대해 이해를 돕고자 code를 추가할께요~
아시는것처럼 select에 file fd를 read로 걸면 select를 호출할때마다 곧바로 리턴되어집니다. 따라서 fd를 read했을때 리턴값(read한 크기)이 0인 경우, 더이상 읽을 것이 없다는것을 의미합니다. 이경우 1초 쉬었다가 다시 select로 올라가게 되는데 마찬가지 select는 곧바로 리턴되죠.. 그러면 또다시 read해서 ret가 0이므로 1초쉬고.. 여기서 만약에 test.log를 열어서 마지막에 어떤것을 추가하면 추가된 것이 read되겟쬬.. ^^
tail의 방법을 select로 만들어 봤습니다~~ 어떤것이든 방법의 차이가 아닐까요??? ^^*
비슷한 내용에 대한 답변이 존재합니다.[url]http://bbs
비슷한 내용에 대한 답변이 존재합니다.
http://bbs.kldp.org/viewtopic.php?t=2409&highlight=regular
참고하시고 추가 질문이 있으시면 해주세요.
우리 모두 리얼리스트가 되자. 그러나 가슴에 이룰 수 없는 꿈을 가지자
위의 링크에 나와 있는 것에 대해 이해를 돕고자 code를 추가할께요~
위의 링크에 나와 있는 것에 대해 이해를 돕고자 code를 추가할께요~
아시는것처럼 select에 file fd를 read로 걸면 select를 호출할때마다 곧바로 리턴되어집니다. 따라서 fd를 read했을때 리턴값(read한 크기)이 0인 경우, 더이상 읽을 것이 없다는것을 의미합니다. 이경우 1초 쉬었다가 다시 select로 올라가게 되는데 마찬가지 select는 곧바로 리턴되죠.. 그러면 또다시 read해서 ret가 0이므로 1초쉬고.. 여기서 만약에 test.log를 열어서 마지막에 어떤것을 추가하면 추가된 것이 read되겟쬬.. ^^
tail의 방법을 select로 만들어 봤습니다~~ 어떤것이든 방법의 차이가 아닐까요??? ^^*
감사합니다. 친절한 설명^^
제가 찾는 내용이 있었네요
제가 좀 더 찾아보고 올렸어야 하는데 감사함니다. ^^
좋은 주말 보내세요
도전하라
댓글 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