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도 지금 그 문제로 고민하고 있습니다
그런데요 dhcp로 된 첫번째 랜카드 (인터넷과 직접 연결되어 있는 랜카드)에
공유를 해주는게 맞나요?
두번재 (192.168.0.1 로 쎄팅되어있는 랜카드)에 공유를 해주어야 하는거 아닌가요?
저두 윈xp를 사용하고 잇는데요 님이 말씀하신것처럼 설정을 했느데... 안되더라구요
뭐가 문제가 있을까요
그리고 서브 컴퓨터의 설정에서요 브로드 케스팅인가 머 그런것도 있던데요.. 첨에 리눅스 깔때요..
거기서 설정 192.168.0.2로 해놓구 게이트 웨이 192.168.0.1 로 해놨는데요
그 외에 또 만질것이 있나요?
꼭점 알려주세요 ^^
우선.. 윈도측에서 랜카드가 2개 있으시겠지여?(당연한것이겠지여..)
우선.. 윈도측에서 랜카드가 2개 있으시겠지여?
(당연한것이겠지여..)
참고로, 이것은 저의 경우였습니다.
게다가 전 윈도2000 사용을 하였으므로, xp 와는 약간 내용이 다를수 있습니다만, 기본적으로 같을것 이라고 생각합니다.
(저의 메인컴은 윈도&리눅스 듀얼부팅이고, 언제나 인터넷공유가 됩니다.)
1.1번째 랜카드를 dhcp 로 인터넷에 연결한다.(등록정보란의 공유란 체크한다)
2.2번째 랜카드를 192,168.0.1 로 잡고, 넷마스크 255.255.255.0
로 설정한다.
3.크로스케이블로 허브나, 서브컴퓨터로 연결한다.
4.서브컴퓨터의 랜카드정보를 등록한다.
ip는 192.168.0.2
게이트웨이 192.168.0.1
게이트웨이가 서버컴의 2번째랜카드에 할당한 주소와 같아야 한다.
네임서버는 자신이 좋아하는곳을 알아서 넣는다...
(4번의 경우에는 리눅스나, 윈도를 떠나서 어느 운영체제도 같다. tcp/ip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운영체제라면 4번처럼 맞춰주면, 인터넷이 필시 된다!!!)
참고로, 리눅스 네트워크설정법...
#ifconfig eth0 192.168.0.2 gateway 192.168.0.1 netmask 255.255.255.0 up
맞나...? ㅡ.ㅡ;;
네임서버등록
#vi /etc/resolv.conf
변경
이정도면 충분히 답변이 된것 같습니다....만...
아바타 제작기간~~ 무려 5초!!!
님의 글 정말 잘 읽었습니다
저도 지금 그 문제로 고민하고 있습니다
그런데요 dhcp로 된 첫번째 랜카드 (인터넷과 직접 연결되어 있는 랜카드)에
공유를 해주는게 맞나요?
두번재 (192.168.0.1 로 쎄팅되어있는 랜카드)에 공유를 해주어야 하는거 아닌가요?
저두 윈xp를 사용하고 잇는데요 님이 말씀하신것처럼 설정을 했느데... 안되더라구요
뭐가 문제가 있을까요
그리고 서브 컴퓨터의 설정에서요 브로드 케스팅인가 머 그런것도 있던데요.. 첨에 리눅스 깔때요..
거기서 설정 192.168.0.2로 해놓구 게이트 웨이 192.168.0.1 로 해놨는데요
그 외에 또 만질것이 있나요?
꼭점 알려주세요 ^^
문제 해결했습니다
처음 리눅스 깔때 아이피랑 게이트 웨이 잡아줫는데
설정에 들어가 보니깐 자기 맘대로 127. 어쩌구로 잡혀 있더라구요
그놈 설정에 들어가서 아이피랑 게이트 웨이 다시 잡아주니깐 바로 되었습니다.
초기 설정이 자기 맘대로 바뀌다니...
에혀..
어쨋거나 공유 성공 ^^
윈도우에서 인터넷이 직접 연결된 카드에 인터넷 공유를 체크
윈도우에서 인터넷이 직접 연결된 카드에
인터넷 공유를
체크해 주는게 맞습니다.
댓글 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