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국방 관련 프로젝트에서 사용된 보안 모듈이 리눅스 커널에 적용됐는데, 이를 SELinux라고 합니다.
SELinux를 보고 처음 드는 느낌은 "왜 이렇게 설정할게 많지?", "디바이스 노드를 하나만 추가해도 수정해야 할 파일이 뭐가 이렇게 많지"일 껍니다. 생각보다 설정해야 할 코드의 범위도 넓어서 복잡하다는 느낌을 줍니다.
하지만 SELinux만큼 정교하게 시스템의 보안을 지키는 모듈은 현재까지는 없는 것 같은데요.
예를 들면 해커가 루트 권한을 탈취하면 '전지전능'한 모든 권한을 얻게 돼 시스템의 어느 설정 파일이나 바꿀 수 있어요. 그런데 SELinux를 활성화하면 루트 권한이 있는 유저도 특정 파일에 접근하지 못하게 설정할 수 있습니다.
기본으로(by default) 안드로이드, 페도라, 레드헷과 같은 메이저 리눅스 배포판은 SELinux를 모두 활성화해서 릴리즈됩니다.
https://ko.wikipedia.org/wiki
https://ko.wikipedia.org/wiki/%EB%B3%B4%EC%95%88_%EA%B0%95%ED%99%94_%EB%A6%AC%EB%88%85%EC%8A%A4
미국 국방 관련 프로젝트에서는 SELinux를 반드시 사용하도록 요구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보안 때문에 쓰는 거죠. 한 가지 더 안전장치를 하는
보안 때문에 쓰는 거죠. 한 가지 더 안전장치를 하는 셈이죠.
활성화는 당연히 해야 하는 거고, 실제로 배포판의 디폴트 설정도 SELinux를 사용하는 것입니다.
다만, 모든 프로세스에 SELinux를 적용하는 경우는 드물고 특정 프로세스에 대해서만 SELinux를 적용하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targeted policy)
----
academic은 제 고등학교 때 동아리 이름입니다.
academic, 아주 가끔은 저도 이랬으면 좋겠습니다.
SELinux는 가장 널리 알려진 보안 모듈이기 때문입니다.
미국 국방 관련 프로젝트에서 사용된 보안 모듈이 리눅스 커널에 적용됐는데, 이를 SELinux라고 합니다.
SELinux를 보고 처음 드는 느낌은 "왜 이렇게 설정할게 많지?", "디바이스 노드를 하나만 추가해도 수정해야 할 파일이 뭐가 이렇게 많지"일 껍니다. 생각보다 설정해야 할 코드의 범위도 넓어서 복잡하다는 느낌을 줍니다.
하지만 SELinux만큼 정교하게 시스템의 보안을 지키는 모듈은 현재까지는 없는 것 같은데요.
예를 들면 해커가 루트 권한을 탈취하면 '전지전능'한 모든 권한을 얻게 돼 시스템의 어느 설정 파일이나 바꿀 수 있어요. 그런데 SELinux를 활성화하면 루트 권한이 있는 유저도 특정 파일에 접근하지 못하게 설정할 수 있습니다.
기본으로(by default) 안드로이드, 페도라, 레드헷과 같은 메이저 리눅스 배포판은 SELinux를 모두 활성화해서 릴리즈됩니다.
(개인블로그)
http://rousalome.egloos.com
댓글 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