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비)———(클라이언트PC)———(웹서버)
기존의 C# 장비제어 응용프로그램을 웹으로 변환하는 프로젝트를 진행 중 입니다.
클라이언트 PC와 장비의 통신은 USB통신, TCP 통신, 시리얼 통신 입니다.
어떻게 해야할지 감이 안잡힙니다…
클라이언트 PC로 장비를 제어 하는 방법이 뭐가 있을 까요..
(장비)———(응용프로그램(장비제어 & 웹소켓서버))—<웹소켓>—(웹브라우저(UI))———(웹서버)
이런 형태로 시리얼통신하는 장비를 제어하는 프로그램을 만들어 사용하고 있습니다. 클라이언트PC쪽 응용프로그램은 서버 역할도 하기 때문에 항시 실행시켜 놓거나, 웹에서 사용할 때 수동으로 켜주거나 합니다.
어파치 쓰시면 서버 모듈을 만드시면 될 것 같고, 웹서버가 파이선, 루비 같은 거라면 스크립트 작성하시면 되겠습니다. 아니면, 1990년대 유행하던 기술로 CGI 라는 단순한 인터페이스가 있습니다. 그것은 웹으로 서버측의 프로그램을 실행시킬 수 있는 매우 단순한 인터페이스입니다. 아니면 단순한 형태의 웹서버를 개발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텍스트 포맷에 대한 자세한 정보
<code>
<blockcode>
<apache>
<applescript>
<autoconf>
<awk>
<bash>
<c>
<cpp>
<css>
<diff>
<drupal5>
<drupal6>
<gdb>
<html>
<html5>
<java>
<javascript>
<ldif>
<lua>
<make>
<mysql>
<perl>
<perl6>
<php>
<pgsql>
<proftpd>
<python>
<reg>
<spec>
<ruby>
<foo>
[foo]
(장비)———(응용프로그램(장비제어 & 웹소켓서버))
(장비)———(응용프로그램(장비제어 & 웹소켓서버))—<웹소켓>—(웹브라우저(UI))———(웹서버)
이런 형태로 시리얼통신하는 장비를 제어하는 프로그램을 만들어 사용하고 있습니다.
클라이언트PC쪽 응용프로그램은 서버 역할도 하기 때문에 항시 실행시켜 놓거나, 웹에서 사용할 때 수동으로 켜주거나 합니다.
어파치 쓰시면 서버 모듈을 만드시면 될 것 같고,
어파치 쓰시면 서버 모듈을 만드시면 될 것 같고,
웹서버가 파이선, 루비 같은 거라면 스크립트 작성하시면 되겠습니다.
아니면, 1990년대 유행하던 기술로 CGI 라는 단순한 인터페이스가 있습니다. 그것은 웹으로 서버측의 프로그램을 실행시킬 수 있는 매우 단순한 인터페이스입니다.
아니면 단순한 형태의 웹서버를 개발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댓글 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