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 <-> 윈도우즈 텍스트 파일 개행 문제 없는데요...?

글쓴이: 익명 사용자 / 작성시간: 목, 2018/10/18 - 1:13오전
윈도우에서 개행을 포함한 텍스트 파일을
리눅스에서 읽었습니다만... 깨지지 않고 vim으로 읽어보면 개행도 잘 표현 됩니다.
하지만 한문자씩 읽어 보면 \r이 숨어 있습니다.
즉 윈도우에서 aa엔터
를 저장하고 리눅스에서 읽어보면
텍스트 에디터 같은 곳에서는 똫같이 표현되지만
aa\r\n이 되어있습니다.
\r은 텍스트 에디터에서 지워지는 것인가요?
윈도우에서 개행은 \r\n인데
리눅스에서 \n으로 저장 해도 윈도우에서 잘 됩니다.
왜그런가요?
Forums:
왜 윈도우에서 \r\n이 아니지..?
윈도우 메모장에서 (abcd엔터)를 하고 저장했습니다.
그리고 1바이트씩 읽었는데
<출력> 0 : 97 1 : 98 2 : 99 3 : 100 4 : 10 5 : 0 6 : 0 7 : 0 8 : 0 9 : 0
이라는 결과가 나왔습니다.
왜죠..? 윈도우에서는 \r\n이 개행이라는데...
텍스트 모드로 읽어드린것도 아니고 바이트단위로 읽었는데
\n만 있나요..?
텍스트 모드로 읽고 계신데요.
텍스트 모드로 읽고 계신데요.
FILE* f = fopen("ttt.txt", "rb");
로 파일을 열어 보시죠.죄송합니다...__ 생각이 짧았네요...
그런데 한가지 풀리지 않는 궁금증이 있습니다.
윈도우에서 (abcd엔터)를 저장하고 리눅스에서 읽어보면
(a b c d \r \n)가 들어있습니다.
윈도우에서 사용하는 \r\n개행이 잘 들어가 있습니다.
그런데 이것을 vim으로 열어보면 깨지지 않고 (abcd개행) 잘 보입니다.
리눅스에서 텍스트 모드에서는 \r를 무시하나요?
역으로...
역으로 리눅스에서 (aa\n)을 저장하고 윈도우즈 편집기에서 보면 개행이 잘 표현됩니다.
하지만 바이트씩 읽어보면 97 97 10 입니다. \r이 없어도 윈도우즈 편집기에서 개행이 잘 표현됩니다....
...
vim은 텍스트 파일의 개행문자가 어떤 포맷인지 자동으로 인식해서 읽어들이는 기능이 있습니다.
문제의 파일을 읽은 다음에
:set fileformat
:help fileformat
해보세요.
댓글 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