멀티플렉싱 기반 서버에 대해

글쓴이: 익명 사용자 / 작성시간: 월, 2018/08/27 - 8:31오후
'멀티플렉싱 서버는 한 순간에 하나의 클라에게만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그로 인해 서비스를 필요로 하는 클라는 서버 접속 후 자신의 순서가 오기를 기다려야 한다.'
이 부분이 잘못되었다고 하는데 저는 틀린 말이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멀티플렉싱 서버는 파일 디스크립터를 감시하는 스레드 하나가 동작하면서 이벤트 발생시 해야 할 루틴을 수행합니다.
예를 들어, 감시할 파일 디스크립터 4개가 있다고 했을 때 두 개가 이벤트 발생되었다고 하죠. 이때, 각각 서비스 제공을 위한 실행흐름이 나뉘어져 독립적으로 흘러가는 게 아니라 파일 디스크립터 벡터를 하나씩 순회해가며 처리하죠.
이러한 동작 기반을 갖는 멀티플렉싱 서버를 ' 한 순간에 하나의 클라에게만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그로 인해 서비스를 필요로 하는 클라는 서버 접속 후 자신의 순서가 오기를 기다려야 한다.' 라고 표현하지 못하는 이유를 모르겠습니다.
Forums:
어떤 문맥이냐에 따라 다르겠죠.
어떤 문맥이냐에 따라 다르겠죠.
미시적으로 보면 한순간에 하나의 클라이언트만 처리하는 것도 맞고,
거시적으로 보면 하나를 처리하는 와중에 다른 클라이언트를 처리할 수 있으니 동시에 여러 클라이언트에게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것도 맞고,
어디 책에 나오는 문제같은데, 문장 하나만 볼게아니라, 책에서 관련된 문맥을 살펴서 책이 말하고자 하는 바가 뭔지 살펴봐야 겠습니다.
저한테는 서비스라는 말이 거시적인 관점이라서 굳이 따지자면 틀린 말이라고 생각됩니다.
저도 서비스를 어디에서 어디까지로 봐야하는지 고민을
저도 서비스를 어디에서 어디까지로 봐야하는지 고민을 했었는데요. 연결 접속된 클라이언트가 연결을 끊을 때까지를 서비스로 본다면 틀린 말이 맞는 것 같습니다. 저는 서비스를 클라가 데이터를 보내는 것(패킷을 전송)하는 부분이라고 생각해서..답변 감사합니다.
댓글 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