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ARC 프로세서에서의 정적변수 영역 접근
SPARC 프로세서를 공부하고 있습니다.
data 영역에 서로 다른 크기의 변수 (같은 크기일 경우 문제가 없습니다만....) 를 저장하고 레이블을 통해 접근하는 방법에 대해, 문서적으로는 이해했다고 생각했으나 실제 코딩을 해 보니 제대로 값을 읽어오질 못하네요.
.section ".data"
record: .word 3
.byte 1
.align 2
.half "M"
예를 들어, 위와 같이 .data영역에 데이터를 저장할 경우
상대 주소
0 .word 3
4 .byte 1
5 .half "M"
이렇게 저장되는데, 상대주소 5는 2의 배수가 아니므로 경계정렬을 통해
0 .word 3
4 .byte 1
.align 2
6 .half "M"
이렇게 만들어야 접근할 수 있다고 알고 있습니다.
이제 이것을 main 레이블 안에서 실행하는 동안
set record, %l0 ! 레지스터 %l0 에 records 레이블의 주소를 저장
ld [%l0], %o0 ! 레지스터 %o0에 현재 records 레이블의 주소가 가리키는 위치에 저장된 3이 저장된다.
add %l0, 4, %l0 ! 3 다음으로 저장된 1에 접근하기 위해, 상대주소에 +4를 한다
ld [%l0], %o0 ! 여기서부터 오류가 납니다. 첫 숫자 이후의 데이터에 접근할 수가 없습니다.
혹시 상대주소 계산을 저런 방식으로 하면 안되는 건가 싶어서
record: .word 3
record2: .byte 1
이렇게 둔 후
set record, %l0
ld [%l0], %o0 ! 레지스터에 3이 저장된다
set record2, %l1
ld [%l1], %o1 ! 이번에도 제대로 숫자를 읽어오지 못합니다.
.word 3
.word 1
이렇게 같은 크기의 데이터에 저장 하면 제대로 읽히는 것은 확인했습니다.
어떻게 해야 값을 제대로 읽어올 수 있을까요?
정적 변수 이전에,
정적 변수 이전에,
sparc에서 byte나 half 데이터를 로드할 땐 ldub, lduh 등의 명령어를 써야 하는 걸로 알고 있는데
그대로 ld를 쓰신 건 의도하신 건가요?
https://en.wikibooks.org/wiki/SPARC_Assembly/Memory_Instructions#Load_Instructions
그 부분에 대해서는
지금은 어느정도 해결되었습니다.
말씀대로, byte나 half 데이터 로드를 위해 ldub, lduh를 사용하였습니다.
그런데 이번에 새로운 문제가 발생했습니다.
정적 변수 영역에 .asciz로 저장된 문자에 접근 및 출력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예를 들어,
record : .word 4
.asciz "AWESOME"
.skip 9*1
이렇게 정적변수 영역에 선언되었을 때, "AWESOME" 문자열을 call printf으로 출력 혹은 어떤 레지스터에 저장하려면 어떻게 해야하나요?
C나 C++언어였다면 문자열 (포인터) 을 선언, 그 시작주소만 가져와 출력하면 널문자까지 읽어 가져왔었는데,
저는 지금 최대 17byte 공간에 문자열을 저장하고 그것을 읽어오고 싶습니다.
("AWESOME\0" 문자열이 총 8바이트고, skip 9*1로 9바이트를 채워 17바이트를 만들었습니다.)
댓글 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