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에서 학교를 다니는 대학생에게 조언을 부탁드립니다.

mtguard의 이미지

미국에서 학교를 다니는 대학생에게 조언을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리눅스 설치 때문에 돌아다니다가 흘러 들어와서 포럼을 알게 된 대학생입니다. 도움 되는 글들을 찾아보던 중 현업 종사자 분들에게 조언을 받고 싶어 용기를 내서 글을 올려봅니다.

스물다섯. 캘리포니아 샌프란시스코에서 대학교를 다니는 주니어(3학년) 대학생입니다. 고등학교 때 프로그래밍에 꽂힌 뒤 내 미래는 미국에 있구나 싶어 부모님을 설득해 홀로 미국에 온 지 이제 4년차가 되어가네요.

학교 수업은 별 어려움 없이 따라가고 있지만, 슬슬 취업이 눈앞에 다가오기 시작하니 학점 빼곤 실무에 대한 지식이 전무하니 걱정이 되네요.

조만간 인턴 쪽을 알아보면서 실무 쪽 경험을 쌓아보려 합니다만, 도대체 제가 뭘 내세워야 할 지 모르겠네요. C/C++로 입문, 고등학교 때부터 정보 쪽을 공부해서 자료구조/알고리즘 쪽은 나름대로 자신은 있습니다만, 실무 쪽에선 필요할지도 의문입니다. 학원에서 중고등학생들 알고리즘과 자료구조 시간제 강사 경험이 있지만 취업에 도움이 되긴 할런지... 아, SQL은 나름대로 관심도 있는데다 학교 수업으로 들은 적도 있어서 조금 다룰 수 있습니다.

취미삼아 이것저것 건드리면서 파이썬이나 자바, 리눅스, html5, php같은 건 기초적인 수준은 다룰 수 있지만 아무래도 제대로 활용할 일이 없다시피 해서 고만고만한 수준입니다. 그쪽 일을 하다 보면 자연스럽게 익혀지겠지요... 일단 현 Univ로 편입하기 전에 CC단계에서 Computer Science 전공으로 AS-Degree를 받아두긴 했는데, 유학생 입장에선 취업에 별 도움 안된다고 하더군요. 그나마 지금 영주권 절차를 밟고 있고(하필 트럼프 타이밍이랑 겹쳐서...흑), 학생인턴 쪽은 비교적 써먹을 데가 있을지 싶어서 희망을 가지고 있습니다.

영어 실력은...유창하지 않습니다. 아직도 영어 들으면 못알아 듣는 말도 많고, 말할 때 버벅이고... 하지만 부끄러움이 없어서 그냥 못알아들어도 못알아듣는대로 막 던지는 것이 장점이라면 장점입니다. 제가 유학생이라 그런지는 몰라도 개떡같이 말해도 찰떡같이 알아듣더군요.

휴... 말해 놓고 보니 그간 시간을 너무 흥청망청 쓰고 정작 이룬 건 없어 보이네요... DB도 DB지만 모바일이나 웹 등 이것저것 흥미 가는대로 마구 들쑤시다 보니 정작 겉핥기만 하고 깊게 판 게 없어 뭘 잘한다고 말할 자신이 없습니다.

다음 학기에 인턴을 알아보려 하는데 영어야 그렇다 쳐도 실무에 대해 아무것도 모르다 보니 무엇을 먼저 공부해야 할지도 막막하네요. 일단은 학생인턴을 잘 뽑지 않는다는 DB쪽보단 모바일이나 웹 쪽으로 인턴을 구해볼까 합니다. 다음 학기까지 약 4개월~7개월 정도. 그동안 무엇을 공부해야 할 지 현업 종사자분들에게 조언을 부탁드립니다.

굳이 공부해야 할 부분이 아니더라도, 뭔가 조언을 해주신다면 감사히 받겠습니다. 주변에 현업 종사자 분들이 없어서 앞으로 어떻게 해야 할지 막막하기만 하네요.

vagabond20의 이미지

끝까지 졸업이 간당간당한 아들녀석에 비하면 참 부러운 상태네요. 좌우지당간에..

*

(한국에서 공부하다 온 분이라 그런지) 생각하는게 좀 다른것 같습니다.
인턴사원이 되었던, 졸업하고 직장을 갖게 되는 신입사원이 되었던지간에 미국에서 이쪽 전산분야 직장을 알아본다는것은 한국의 경우와 많이 다릅니다.
일단, 너무 초조해 마시길.

단, 트럼프가 대통령이 되면서 외국인 학생이 직장을 잡는게 미국인 학생이 직장에 문을 두드리는것보다 '훨씬' 어려워 지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외국인 학생이 H-1B 를 받기전 과정인 견습생 신분 (Optional Practical Training) 을 보장받기 어렵고, 이것은 학생의 실력이 얼마나 뛰어난가와는 무관하게 행정적으로 어려워지고 있는데, 이런 조건이 모두 해결된다는 가정하에 조금이나마 도움이 될 조언을 드립니다.

미국의 전산분야 고용시장은 상태가 아주 좋습니다.
웬만하면 (미국) 전산전공자 거의 전원이 취업을 할 수 있을만큼 사람을 많이 뽑습니다.
더더군다나, 트럼프 행정부에서 강하게 추진하는 외국인 고용제한 정책 덕분에 인도 등지에서 미국으로 들어오는 전산관련 직종 취업희망자 수가 급격히 줄어들것입니다. 그 얘기는 엄청난 수요에 비해 인원공급이 어려워질것이라는 얘기지요. 그래서 주요 IT 기업들은 워싱턴 디씨에서 여러가지 로비활동을 하고 있을겁니다.

즉, 일자리는 엄청 많습니다.
그리고, 앞에서 잠깐 언급하였듯이 - 학생인턴사원이나 신입사원에게 많은것을 요구하지 않습니다. 게다가 공급이 수요를 못 쫓아가고 있는 상황에서 웬만큼의 실력이면 모두 직장을 쉽게, 좋은조건으로 얻을 수 있을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언어소통이 문제인데...
제 20-30 대 때 경험으로, 전화인터뷰에서 잘 소통이 된다는 느낌을 상대방이 받아야 합니다.
아무리 인원이 모자라도 소통이 정말 어렵다고 보면 뽑지 않을겁니다.

그러니, 제 생각에는 남은 기간동안 곁에 있는 미국인 친구들을 많이 따라다니면서 친해지도록 하세요. 영어실력향상에 제일 도움이 되는게 사람들과 소통을 하는겁니다. 그리고 혼자 하는 공부는 미국 TV 드라마와 뉴스, 시간나는대로 보고 알아들을 수 있을때까지 노력하십시오.

공부야, 뭐 잘 따라가시는것 같아 다행이고 크게 신경 안써도 될것같습니다.
학생인턴은 분야에 상관하지 말고 가능하면 큰 회사 (예를 들어 Visa, JP Morgan Chase, MasterCard, Google, Amazon 등) 를 알아보시고 도전하세요. 꼭 특정분야를 지금부터 찍어서 도전하는것은 나중에 자신이 경력을 쌓을때 움직일 수 있는 폭을 한정짓게 만들기 쉽상입니다.

영어공부, 현지학생들과의 소통, 미혼이라면 미국인 여자친구를 사귀는것도 좋은 방법.

영어가 되아야 미국이라는 데가 보이기 시작합니다, 뭔일을 하던지간에.

여의도자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