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nux data buffer 자동 저장 시간??
글쓴이: sq58123 / 작성시간: 월, 2016/06/20 - 10:56오전
안녕하세요 한가지 궁금한 것이 있어 글 남겨 봅니다.
현재 사용 중인 운영체제는 Linux 인데 임베디드 linux 인거 같습니다.
cent, red hat 뭐 이런 정보 하나도 안나옵니다... 아직 잘 몰라서 찾지 못하는거 같기도 하네요
각설하고 궁금한것은 다음과 같습니다.
linux 에서 vi 로 파일 하나를 저장합니다. 파일 명은 abc.txt 라고 하겠습니다.
abc.txt 를 저장하고 sync 명령을 주고 강제로 파워를 off 하고 on 합니다. 그러면 abc.txt 파일이 저장되어 있습니다.
이번에는 def.txt 파일을 vi로 만들어서 저장을 합니다. sync 명령이 입력 하지 않고 바로 파워를 off 하고 on 합니다.
그러면 def.txt 파일 내용이 깨져 있습니다.(알수 없는 문제로 도배가 되네요)
그런데... def.txt 파일을 생성하고 난 후 약 40sec 정도 power 를 on 상태로 유지 하면 sync 명령 없이도
파일이 자동 저장이 되더군요..
이게 아마 sync 와 동일한 효과인거 같은데 일정 시간이 지나면 buffer에 저장되어 있는 내용을 disk 기록 하는 것 같습니다.
그렇다면 여기서 궁금한거....
자동 저장 되는 시간을 측정 해보니 40sec 정도 인 것 같습니다.
이 시간은 임의로 수정 할 수 있는 건가요?
Forums:
참고 :
참고 : http://superuser.com/a/479384
$ sudo mount -t ext4 -o rw,commit=10 /dev/sda1 sda1
mount할때 commit 옵션을 주면 sync 간격을 정할 수 있는 모양입니다.
매뉴얼 페이지에도 아래와 같이 나옵니다.
모든 파일시스템에 다 적용되는지는 모르겠지만, 위 글을 보면 ext4에서는 되는 것 같습니다.
댓글 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