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en + ZFS 파일 시스템
글쓴이: qkrruddnjs12 / 작성시간: 금, 2016/05/06 - 11:05오후
ZFS 파일 시스템이 Silent data corruption에 강점을 가진다고 해서
FreeBSD의 ZFS 파일 시스템을 쓰려고 합니다.
그런데 Xen을 써 본 적이 없어 Xen이 어떤 방식으로 작동하는지 잘 모르겠네요
Xen (혹은 Xen client)를 설치할 때도 Disk 파티션을 정할 수 있고,
그 위에 올라가는 guest를 설치할 때도 Disk 파티션을 정할 수 있는데
Silent data corruption 방지 기능을 가지는 ZFS 파일 시스템의 혜택을 받으려면
어떻게 설치를 해야 할까요? 중요한 데이터는 가상 머신인 DomU 위에 있을꺼에요.
1. Dom0 와 DomU 모두 ZFS로 설치
2. Dom0 만 ZFS로 설치해도 됨
3. DomU 만 ZFS로 설치해도 됨
Forums:
저도 xen과 zfs를 세팅중입니다. Xen
저도 xen과 zfs를 세팅중입니다.
Xen client는 XenCenter를 말씀하시는듯 한데 반드시 Xen 서버를 연결해야만 게스트를 실행할수 있습니다.
Xen(server)은 VM의 ESX와 같은건데 네이티브 구동대신 리눅스 상에서 구동하는것도 가능하네요.
현재 X환경이 없는 Server버전에 설치해도 동작하는지를 테스트중인데 세팅이 만만치 않네요.
James Gostling
xen
혹시 Xen 위에서 ZFS 하신다면
어떻게 하셨는지 노하우좀 공유 가능할까요...
I/O, 메모리 퍼포먼스를 적게 쓰면서 Xen 위에서
ZFS를 어떻게 구성해야 할지 어렵네요
Xen para virtualization을 사용하면 하드웨어 제어는
어떻게 되나요? Xen 위의 guest들이 바로 물리 디스크의
파티션을 배당 받고 직접 제어하는 방식인가요?..
Xen에 대해서도 공부를 해야겠네요...
아니요 zfs로 구성된 볼륨에 xen게스트를
아니요 zfs로 구성된 볼륨에 xen게스트를 할당합니다.
호스트에서는 물리볼륨이 아닌 dd이미지를 게스트에 할당하니 게스트까지 zfs로 쓰려면 네이티브로 지원돼야 하는데 그건 솔라리스와 BSD만 가능합니다.
제가 하려는게
빈 서버에다 FreeBSD를 ZFS 파일 시스템으로 설치하고
그 위에다 Xen으로 반 가상화를 통해
legacy 파일 시스템으로 FreeBSD 하나랑 Redhat 4개를 가상머신으로 설치 하려고요
이렇게 해도 silent corruption 방지는 되면서 문제 없는게 맞죠?
아직 Xen은 우분투에만 사용해봤고요
작동확인만 마친 상태며 그 ZFS 때문에 freeBSD로 갈아타는 중입니다.
다만 Xen 설치가 우분에서는 apt-get으로 가능했지만 FreeBSD에서는 소스컴파일로 설치되는듯 합니다.
참고로 며칠 삽질한것 한가지를 말씀드리자면
여담인데요, / 파일시스템까지 ZFS인 경우 주요 .conf 구문에 오류가 있을시 그대로 재부팅하면 모든 수정사항이 이전 상태로 자동컴백이 돼버리는데 이것대문에 미처버리는줄 알았습니다.
그런데 5게스트를 돌리려면 사양은 좀 빵빵 해야겠군요.
James Gostling
전 zfs는 아니지만..
예전에 클라우드 개발 할때
X환경 없는 linux 에서 Xen 설치하여 개발 하였고 구동 잘 되고
실제 서비스도 하였습니다.
그때 당시 centos5.2 였나 5.3 에.. 커널은 얼마였는지 기억이 잘..
무튼 X환경 없이도 잘 됩니다~
제가 원문 작성자는 아니지만
한가지 추가적으로 궁금한게 있어 문의드립니다.
원격지 (동일 서브넷)에서 PXE로 게스트 부팅도 가능한지요.
ESXi의 경우 문서상에 가능하다는 글만 있지 구체적인 세팅방법은 일절 언급이 없어 의심가는 부분인데요
Xen의 경우는 PXE로 DomU 부팅까지 가능한지요.
음..
PXE로 DomU 부팅은 해 본적이 없어서.. 잘 모르겠네요
예전에 하던건 Dom0 만 PXE로 부팅 하고,
나머지는 다 중앙서버에서 키고 끄고 하던 형태라.. DomU는 잘 모르겠습니다.. ㅠ
Xen vm은 기존 제가알던 상식과는 다소 차이가
Xen vm은 기존 제가알던 상식과는 다소 차이가 있나봅니다. (VNC보고 약간은 감잡았지만...)
클라이언트쪽에서 원격부팅으로 사용되는게 일반적인데 그렇게는 못쓰나요?
음.. 정확히 어떤걸 질문하시는지 모르겠는데요..
PXE 부팅이 아니라
원격에서 부팅을 시킬 수는 있습니다
원격에서 ON 명령을 내려서, DomU 를 부팅 시키는건 가능 하구요. (이런식으로 서비스를 했었구요)
그런데 DomU 를 PXE 부팅을 시켜본적은 없어서, 실제 가능 한지 안한지는 모르겠습니다.
PXE 부팅은 Dom0 만 했었습니다.
제가 해본것이 이것이고.. DomU를 PXE 부팅으로 할 수 있는지 없는지는 모르겠네요..
(제가 클라우드 서비스 개발 하던게.. 5,6년 전이라... 지금은 그런 개발환경이 없어 테스트를 못해보겠네요..)
DomU를 호스트에서 키고끄고 하셨다기에 조금
DomU를 호스트에서 키고끄고 하셨다기에 조금 의아해했습니다. 정확히는 호스트에서도 리모트에서도 가능하다는거군요.
그런데 pxe를 통해 게스트를 부팅하는건 xen 서버 자체의 지원이 없이는 될거같다는 생각이 드네요.
즉 pxed tftpd dhcpd(bootp) 까지를 xen에서 네이티브로 지원해야만 가능하겠는데 아마도 아닌듯 합니다.
DomU를 호스트에서 키고끄고 하셨다기에 조금
DomU를 호스트에서 키고끄고 하셨다기에 조금 의아해했습니다. 정확히는 호스트에서도 리모트에서도 가능하다는거군요.
그런데 pxe를 통해 게스트를 부팅하는건 xen 서버 자체의 지원이 없이는 될거같다는 생각이 드네요.
즉 pxed tftpd dhcpd(bootp) 까지를 xen에서 네이티브로 지원해야만 가능하겠는데 아마도 아닌듯 합니다.
음 좀 상세히 말씀을 드리자면...
구조 자체가 hierarchy 하게 구성이 되어 있었습니다
CC-RC-Dom0(DomU 포함)
즉, CC가 중앙 제어 서버, RC가 중간 관리 서버, 그다음 Dom0 (PXE로 부팅한 호스트들) 이었고
Dom0 에는 DomU가 여러대 있을 수 있겠죠
그래서 모든 컨트롤은 CC를 통해서 이루어 졌습니다.
만약 Dom0 에 올라 가 있는 vm 들 (vm1, vm2,... vmN 이라고 칭하면) 을 키려면
CC에다가 vm1번을 켜라! 라고 명령을 내리면
이게 CC -> RC -> Dom0 -> vm1 PowerON! 뭐 이런식으로 흘러가는 흐름이었습니다.
저 혼자 만지고 지지고 볶고 하던게 아니라
다니던 회사에서 연구하고 개발해서 실제 서비스 까지 했던거라 규모 자체도 컸고, 개인으로 테스트 해보는거랑은 환경 자체가 많이 다르리라 생각됩니다.
댓글 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