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리눅스 초보 질문드립니다.
현재 CentOS를 사용중인데.. 환경설정파일들을 보면 파라미터에 값을 입력할 때 '=' 을 사용할때도 있고 띄어쓰기를 사용할때도 있는데 어떤 차이인지 궁금합니다.
터무니없는 질문일 수 있는데 초보이니 이해 부탁드립니다. ㅠㅠ
해당 데몬 or 프로그램에서 설정파일을 읽어서 파싱하는 방법에 따라 다릅니다. 통일된 기준이 있는게 아니라 어떤 곳에서는 "=" 를 기준으로 값을 파싱 해서 값을 설정 하기도 하고 어떤 곳에서는 " "(띄어쓰기)를 기준으로 값을 파싱해서 값을 설정 하기도 하고 어떤 곳에서는 ":" 나 ";", "|" 등을 기준으로 사용 하기도 하죠 이건 해당 프로그램이 어떻게 짜여져 있나의 차이 입니다.
감사합니다.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텍스트 포맷에 대한 자세한 정보
<code>
<blockcode>
<apache>
<applescript>
<autoconf>
<awk>
<bash>
<c>
<cpp>
<css>
<diff>
<drupal5>
<drupal6>
<gdb>
<html>
<html5>
<java>
<javascript>
<ldif>
<lua>
<make>
<mysql>
<perl>
<perl6>
<php>
<pgsql>
<proftpd>
<python>
<reg>
<spec>
<ruby>
<foo>
[foo]
그건...
해당 데몬 or 프로그램에서 설정파일을 읽어서 파싱하는 방법에 따라 다릅니다.
통일된 기준이 있는게 아니라
어떤 곳에서는 "=" 를 기준으로 값을 파싱 해서 값을 설정 하기도 하고
어떤 곳에서는 " "(띄어쓰기)를 기준으로 값을 파싱해서 값을 설정 하기도 하고
어떤 곳에서는 ":" 나 ";", "|" 등을 기준으로 사용 하기도 하죠
이건 해당 프로그램이 어떻게 짜여져 있나의 차이 입니다.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댓글 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