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스파일 인코딩 옵션 문제
안녕하세요.
visual studio 2010 환경에서 특정 cpp (이후 A.cpp라 하겠습니다) 에서만 디버깅이 안되는 문제가 있어서 이것저것 알아보던 중 그 해결책으로 찾은 것이,
1) <도구> - <옵션> - <디버깅> 에서 "소스 파일이 원래 버전과 정확하게 일치해야 함" uncheck 하기
or
2) <도구> - <옵션> - <텍스트 편집기> 에서 "서명 없는 UTF-8 인코딩 자동 검색" check 하기
위 체크 만으로 안된다면,
해당 cpp 열어놓고 <파일> - <고급 저장 옵션> 에서 "한국어 - 코드 페이지 949" 대신에 "유니코드(서명 있는 UTF-8) - 코드 페이지 65001" 바꾸기
위와 같으며 적용 결과는 다음과 같습니다.
1)은 디버깅은 되나 다른 문제가 발생하여 적용이 불가.
2)에서 check와 UTF-8로 바꾸니 디버깅도 잘되고 다른 문제도 없어보임.
여기서 궁금한 것은,
<< 2)와 같이 A.cpp의 인코딩 방식을 바꾸면 단순히 그 파일 자체의 형식만 바뀐 것이라서 visual studio상에서 한글 등 문자 디스플레이에만 영향을 주는 것인지,
아니면 A.cpp내 한글 등의 문자 처리하는 code에도 영향을 주는 것이 있는가 >> 입니다.
예를 들어 A.cpp에서
char szMsg[256];
sprintf(szMsg, "해당 device 에러 발생");
대충 이런 식으로 된 코드가 있다고 할 때, CP949와 UTF-8 환경에서 szMsg에 들어가는 내용이 다른 것이 있는 지요.
문자 처리 이런건 하나도 모르겠어서 잘 이해가 안됩니다. 답변 부탁드리겠습니다.
또 하나 궁금한 것은,
cp949일때와 utf-8일때 A.cpp를 winmerge 등으로 비교해보면 바뀐 내용은 없습니다. (깨진 글자도 없고 아무튼 육안상 다른 글자는 없습니다.)
그렇다면 A.cpp의 인코딩 방식을 cp949 --> utf-8로 바꿔서 디버깅 되는 이유는, 단순히 VisualStudio의 버그 같은 것일지요.
내용이 하나 빠졌습니다.
디버깅 안되는 문제 해결한 방법이 하나 더 있었는데요.
다른 것 안바꾸고 코드 내 space를 한칸 넣거나 뺀다던가 주석 내용을 조금 바꿔도 디버깅이 되더군요.
이런 결과는 어떻게 받아들여야 할지요..
댓글 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