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NU 컴파일러와 AT&T 문법 관련 간단한 질문좀 드립니다.
글쓴이: happyKYS / 작성시간: 금, 2015/04/10 - 3:05오후
어셈블리어를 그렇게 잘 알진 못하는데요 ㅜ.ㅜ
크게 인텔 문법과 AT&T 문법으로 분류한다고 했을 때, AT&T 문법의 경우 destination이 뒤에 위치하는 문법으로 알고 있습니다.
GNU 컴파일러의 경우에도 AT&T 문법을 따른다고 여러곳에서 본 것 같은데요.
제가 arm-linux-gnueabi-gcc 크로스 컴파일러를 이용해서 어셈블리 코드를 생성해 보면, 다음처럼 destination이 앞에 위치하는 것 같은데.. 제가 개념을 좀 혼동하는 건지, 뭔가 변화가 있는건지 궁금하네요.
일부를 기술하였습니다.
sub sp, sp, #16
add r7, sp, #0
movw r3, #:lower16:__stack_chk_guard
movt r3, #:upper16:__stack_chk_guard
ldr r3, [r3, #0]
str r3, [r7, #12]
AT&T 문법대로라면 위에 destination들이 다 뒤에 위치해야 하지 않나요?
Forums:
생각
> 크게 인텔 문법과 AT&T 문법으로 분류한다고 했을 때
이게 저도 20년 전에 배울 때 그렇게 공부했죠. 기억이 안지만 동일 CPU 가령 x86을 놓고 비교해 보면 그랬던 것 같아요.
예를 들면 MASM (Microsoft) 과 GNU GAS 놓고 비교했을 때. (틀릴 수도 있어요, 너무 오래전이라!)
요약하면 비교 대상이 Window ASM (Wintel -Microsoft, Intel) 과 Unix GNU ASM을 비교한거죠.
보고 계신 ARM CPU는 후발 주자에요.
ARM 은 어셈블리를 만들 때, Window 용과 GNU Version 에 "이런 관점"에서 비슷하게 만들었어요.
가령 Window에서 사용되었던 컴파일러 -ARM ASD 경우,
LDR r0,[r3,#0]
리눅에서 사용되는 경우, 인용하신 예제 처럼
ldr r3, [r3, #0]
똑 같죠. 물론 구체적으로 들어가면 각각이 사용하는 Directive도 다르고, Linker Script 문법도 달라요.
...
저도 잘은 모르지만 인텔과 AT&T 문법으로 나누는 건 x86 어셈블리 이야기이고, ARM은 아예 프로세스 종류가 다르기 때문에 해당 사항이 없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만...
댓글 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