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NMP 크로스 컴파일 질문
안녕하세요.
SNMP 프로토콜을 크로스컴파일 작업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타겟은 ppc-linux으로 작업을 하였고 아래의 형태로 configure작업을 마쳤습니다.
./configure \
--prefix=/home/snmp/snmp_install \
--host=ppc-linux \
--target=ppc-linux --with \
--with-endianess=big \
--disable-embedded-perl \
Configure 작업 후 make를 실행하니 몇가지 에러가 발생을 합니다.
라이브러리가 /usr/bin에서 찾을 수 없다하여 해당 라이브러리를 추가하였는데
아래와 같은 에러 메시지가 발생합니다.
/bin/grep: /usr/lib/libbeecrypt.la: No such file or directory
/bin/sed: can't read /usr/lib/libbeecrypt.la: No such file or directory
libtool: link: `/usr/lib/libbeecrypt.la' is not a valid libtool archive
make[1]: *** [libnetsnmpmibs.la] 오류 1
make[1]: Leaving directory `/home/snmp/net-snmp-5.7.2/agent'
make: *** [subdirs] 오류 1
해당 폴더에 libbeecrypt.la 파일이 없는 것 같아서 apt-get install libbeecrypt-dev를 설치하였습니다.
설치 후에 라이브러리를 확인하여 보니 *.a *.so ..etc 라이브러리는 있는데 파일이 *.la 형태의 파일은 없습니다.
la 파일은 libtool로 만들어야 하는데 어떻게 만들어야 하는지 궁금합니다.
감사합니다.
autoreconf 사용해보세요.
./configure 실행전에 autoreconf를 실행시켜 보세요.
#1 autogen.sh 있으면 이 것 먼저 실행보세요. 패키지마다 다른 데 어떤 것은 bootstrap.sh라는 파일을 넣기도 합니다. 이름은 자의적이고
목적은 내부적으로 autoconf/automake/libtool을 다시 호출하는 역활을 합니다.
#2 configure 실행 전에 autoreconf 을 실행해 보세요. (내부적으로 libtool)부릅니다.
autoreconf 도 옵션에 크게 달라지는데 처음부터 모든 것을 다시 생성하는 옵션을 선택해서 사용하세요. (자세한 것은 help참조)
#3 경우에 따라서 linking 에러가 생기면 Makefile.am을 수정할 필요가 있습니다.
만약에 이렇게 해도 라이브 의존성을 해결할 못할 수가 있습니다. 그럼 경우 크로스 컴파일을 환경을 다시 한번 생각해 보아야합니다.
예를 들어,
apt-get install libbeecrypt-dev
이렇게 설치하는 것은 호스트(x86) 라이브러와 크로스 컴파일용 라이브러리를 섞어 쓰는 것입니다. 추천하지 않습니다.
시간이 소요되지만 추천 방법은 특정 디렉토리를 만들고 그 안에서 크로스 컴파일용 위한 autoconf/automake/libtool을 따로 설치하는 것입니다.
예를 들면 Buildroot 같은 경우 여러가지 패키지를 자동으로 빌드할 때 (configure 사용안 하고) 호스트의 autoconf/automake/libtool을 사용하지 않고
자신의 버전을 따로 가지고 있습니다.
요약을 하면, ./configure 가 동작 안하면 autoreconf 실행시켜 새로운 호스트에 적합한 새로운 configure 파일을 만들고 다시 실행 시키는 것입니다.
댓글 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