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함수 인자값을 포인터로 넘기는것은 C 책을 보시면 알 수 있습니다.
- read 함수'라고 네이버와 구글 검색 해보면. 함수 설명을 볼 수 있습니다.
- read 함수에 첫번째 인자값은 파일 디스크립터로 검색하시면 알 수 있습니다.
- read 함수에 두번째 인자값은 데이터 버퍼 입니다.
- read 함수에 세번째 인자값은 데이터 크기 입니다.
- execve 함수에 첫번째 값은 경로이고. 두번째값은 포인터 배열입니다.
이것들을 확인해 보시면 될거 같습니다.
함수와 C. 배열에 대해 알고 싶으시다면.
C 관련 책을 보거나. 학원. 직업교육시설등을 참고해보시면 좋습니다.
리눅스 책을 봐야 알겠지만
- 함수 인자값을 포인터로 넘기는것은 C 책을 보시면 알 수 있습니다.
- read 함수'라고 네이버와 구글 검색 해보면. 함수 설명을 볼 수 있습니다.
- read 함수에 첫번째 인자값은 파일 디스크립터로 검색하시면 알 수 있습니다.
- read 함수에 두번째 인자값은 데이터 버퍼 입니다.
- read 함수에 세번째 인자값은 데이터 크기 입니다.
- execve 함수에 첫번째 값은 경로이고. 두번째값은 포인터 배열입니다.
이것들을 확인해 보시면 될거 같습니다.
함수와 C. 배열에 대해 알고 싶으시다면.
C 관련 책을 보거나. 학원. 직업교육시설등을 참고해보시면 좋습니다.
어설프게 설명해 드린다면. 이런 겁니다.
----------------------------------------------------------------------------
젊음'은 모든것을 가능하게 만든다.
매일 1억명이 사용하는 프로그램을 함께 만들어보고 싶습니다.
정규 근로 시간을 지키는. 야근 없는 회사와 거래합니다.
각 분야별. 좋은 책'이나 사이트' 블로그' 링크 소개 받습니다. shintx@naver.com
댓글 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