꽤 큰 프로젝트 빌드 프로세스를 분석하려는데요. Makefile들과 *.mk등 빌드관련 파일들만 임포트해서 분석하는 방법 없나요?? 이놈에것들 어디서 선언됐는지 찾다보면 아.. 눈이 빠지고 머리가 빠게질것 같아요. 여러분들은 어떻게 하시는지 노하우좀 공유 부탁드립니다.
저두 그렇게 고생고생 해왔었는데 최근에 autotools 를 알게 되면서 Makefile 이 인간이 만든게 아닐 수도 있다는 걸 알고 달리 보게 됐어요..
autotools 로 만들어진 Makefile이라면 configure.ac 와 Makefile.am 그리고 스크립트 파일만 분석하면 됩니다.
autotools 가 아니라도 비슷한 방법으로 기계적으로 Make 기술파일을 만들 것 같은데 이는 확신이 없네요... 짐작일 뿐... 하지만 방대한 Makefile 을 보면 인간이 한게 아니란 강한 의심이 듧니다.
Thanks for being one of those who care for people and mankind. I'd like to be one of those as well.
openWRT입니다. u-boot, 커널, 파일시스템 이렇게 컴파일 환경을 나눠서 SVN에 올릴려고 하는데 제가 초짜라 분석이 만만치 않네요.. u-boot에서 헤매고 있습니다요. 아이고~ ^^;;
제가 답변은 달았지만 알고보면 하수입니다. ^^; 저도 더 자세한 답변 드리지 못해 죄송합니다.... openWRT 를 잘 아시는 분이 답변 좀 해주시면 좋겠네요..
아니예요. 답글 감사합니다.~ ^^
다음과 같이 alias를 하나 만들어 두고;
alias mkgrep='find . -type f -name "*\.mk" -print0 | xargs -0 grep --color -n '
사용하고 있습니다.
$ mkgrep libc
또, 단일 프로젝트인 경우, 컴파일 명령만을 보는 것;
$ make -n (dryrun)
으로 생각대로 make 스크립트가 돌아가고 있는지 확인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저 역시 프로젝트가 커지면 한 눈에 잘 들어오질 않아요. 좀 더 좋은 팁 있으신 분?
아주 편리한데요~ 감사합니다.~ㅎㅎㅎ
텍스트 포맷에 대한 자세한 정보
<code>
<blockcode>
<apache>
<applescript>
<autoconf>
<awk>
<bash>
<c>
<cpp>
<css>
<diff>
<drupal5>
<drupal6>
<gdb>
<html>
<html5>
<java>
<javascript>
<ldif>
<lua>
<make>
<mysql>
<perl>
<perl6>
<php>
<pgsql>
<proftpd>
<python>
<reg>
<spec>
<ruby>
<foo>
[foo]
저두 그렇게 고생고생 해왔었는데 최근에
저두 그렇게 고생고생 해왔었는데
최근에 autotools 를 알게 되면서 Makefile 이 인간이 만든게 아닐 수도 있다는 걸 알고 달리 보게 됐어요..
autotools 로 만들어진 Makefile이라면 configure.ac 와 Makefile.am 그리고 스크립트 파일만 분석하면 됩니다.
autotools 가 아니라도 비슷한 방법으로 기계적으로 Make 기술파일을 만들 것 같은데 이는 확신이 없네요... 짐작일 뿐... 하지만 방대한 Makefile 을 보면 인간이 한게 아니란 강한 의심이 듧니다.
Thanks for being one of those who care for people and mankind.
I'd like to be one of those as well.
답글 감사합니다.
openWRT입니다.
u-boot, 커널, 파일시스템 이렇게 컴파일 환경을 나눠서 SVN에 올릴려고 하는데
제가 초짜라 분석이 만만치 않네요..
u-boot에서 헤매고 있습니다요. 아이고~ ^^;;
제가 답변은 달았지만 알고보면 하수입니다.
제가 답변은 달았지만 알고보면 하수입니다. ^^;
저도 더 자세한 답변 드리지 못해 죄송합니다....
openWRT 를 잘 아시는 분이 답변 좀 해주시면 좋겠네요..
Thanks for being one of those who care for people and mankind.
I'd like to be one of those as well.
아니예요. 답글 감사합니다.~ ^^
아니예요. 답글 감사합니다.~ ^^
안드로이드의 경우 대부분의 make 스크립트의 확장자가 .mk 라서
다음과 같이 alias를 하나 만들어 두고;
사용하고 있습니다.
또, 단일 프로젝트인 경우, 컴파일 명령만을 보는 것;
으로 생각대로 make 스크립트가 돌아가고 있는지 확인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저 역시 프로젝트가 커지면 한 눈에 잘 들어오질 않아요. 좀 더 좋은 팁 있으신 분?
아주 편리한데요~ 감사합니다.~ㅎㅎㅎ
아주 편리한데요~ 감사합니다.~ㅎㅎㅎ
댓글 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