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단 신호 세기와 데이터 전송 성공률과는 "직접적" 인 관계는 없습니다. 신호 세기가 세지만 전송이 안되거나, 신호 세기가 약하지만 전송이 잘 되는 경우 둘 다 가능합니다. (주변의 다른 간섭때문에 이런 현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흔히 WiFi 등에서 신호 세기를, 전송 성공인 마냥 보여주는데, 그 이유는 계산하기가 제일 쉽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상관관계는 어느정도 있습니다. 신호가 너무 약하면 데이터 전송이 안되겠죠.
한편 데이터 전송이 안되는 것과 깨지는 것은 정확하게 구분하긴 어려운데
데이터 전송이 안되는 것은 주변 노이즈보다 데이터 신호가 작게 잡히는 경우라고 보고
깨지는 것은 뭔가 잡히는데 디코딩할 수 없는 경우라고 보면
신호가 약해서 송수신이 잘 안되면 주변 노이즈와 데이터의 세기가 비슷하거나 더 작아서 전송이 잘 안되는 거라고 봐야겠죠.
깨져서 도착하는 경우도 뭔가 받긴 받은거지만 해독을 못하는 경우입니다.
firmware 나 driver 레벨에서 접근 가능할 수도 있습니다.
접속 신호가 signal strength = 신호
접속 신호가 signal strength = 신호 세기 를 말하는 건가요?
일단 신호 세기와 데이터 전송 성공률과는 "직접적" 인 관계는 없습니다. 신호 세기가 세지만 전송이 안되거나, 신호 세기가 약하지만 전송이 잘 되는 경우 둘 다 가능합니다. (주변의 다른 간섭때문에 이런 현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흔히 WiFi 등에서 신호 세기를, 전송 성공인 마냥 보여주는데, 그 이유는 계산하기가 제일 쉽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상관관계는 어느정도 있습니다. 신호가 너무 약하면 데이터 전송이 안되겠죠.
한편 데이터 전송이 안되는 것과 깨지는 것은 정확하게 구분하긴 어려운데
데이터 전송이 안되는 것은 주변 노이즈보다 데이터 신호가 작게 잡히는 경우라고 보고
깨지는 것은 뭔가 잡히는데 디코딩할 수 없는 경우라고 보면
신호가 약해서 송수신이 잘 안되면 주변 노이즈와 데이터의 세기가 비슷하거나 더 작아서 전송이 잘 안되는 거라고 봐야겠죠.
깨져서 도착하는 경우도 뭔가 받긴 받은거지만 해독을 못하는 경우입니다.
firmware 나 driver 레벨에서 접근 가능할 수도 있습니다.
댓글 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