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바 질문드립니다...
글쓴이: ngh1262 / 작성시간: 목, 2011/12/01 - 10:40오전
삼바 설정을 뭘 잘못건드렸는지 지금 헤매고있습니다
우선은 putty까지는 잘 되고 있는 상황이고
윈도우에서 리눅스 서버 접속하려고 탐색기에 \\ip주소를 치면 들어가지도록 삼바에서 설정을 다 했는데
삼바설정에서 뭘 건드렸는지 되질 않더라고요.....;;;
확인해야할것이 무엇인지 알려주세요....ㅜㅜ
그리고 삼바 계정을 만들고 각 계정의 디렉토리는 맘대로하고 다른계정의 디렉토리는 볼수있게하는 방법도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윈도우상 서버접속하여하는법...ㅠ)
Forums:
Samba 설정 예제
며칠전에 서버 조립하고 Debian 시스템에 삼바 설정을 했습니다. 저의 설정 참고해 보세요.
저의 Samba 사용 목적이 서버안의 파일을 윈도우 클라이언트 시스템에서 다루고, 백업 저장소입니다.
1. 백업 저장소로 사용할 디렉토리를 생성
# mkdir /srv/nethdd
2. smb.conf
/etc/samba/smb.conf 파일을 다음과 같이 편집합니다. 기존 설정 파일은 smb.conf.orig와 같이 복사해 둡니다.
[global] 섹션을 제외하고 모두 삭제합니다.(/home 디렉토리 공유와 프린터 공유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
[global] 섹션에 다음의 내용을 추가합니다.
----
dos charset = CP949
unix charset = UTF8
display charset = UTF8
----
Debian은 기본적으로 UTF8을 사용하고 display charset은 unix charset에 맞추면 됩니다.
공유로 사용할 섹션을 smb.conf 파일에 다음과 같이 추가해 줍니다.
----
[root]
path = /
browseable = no
valid users = sambauser
force user = root
force group = root
admin users = sambauser
writeable = yes
create mask = 0655
directory mask = 0755
hide dot files = no
[nethdd]
path = /srv/nethdd
valid users = sambauser
force user = root
force group = root
writeable = yes
create mask = 0755
directory mask = 0755
hide dot files = no
----
root 섹션은 보안상 위험한 설정이므로 중요한 서버에서는 설정하시면 안됩니다. 설정 내용의 자세한 사항은 참고자료를 보세요. 디폴트로 섹션명(root, nethdd)이 윈도우 클라이언트에서 네트워크 드라이브 연결시 사용할 폴더명입니다.
3. Samba 서버 재시작
변경한 smb.conf 설정을 적용하기 위해 다음의 명령을 실행하여 Samba 서버를 재시작합니다.
# /etc/init.d/samba restart
4. 사용자 추가
Samba 사용자를 다음의 명령을 실행하여 추가합니다. 클라이언트로 사용하는 윈도우 시스템과 동일한 사용자명, 암호를 설정하면 네트워크 드라이브 연결시 보안 접속을 위한 로그인 창이 뜨지 않습니다.
# smbpasswd -a sambauser
5. 네트워크 드라이브 연결
윈도우 클라이언트에서 네트워크 드라이브 연결시 root 디렉토리는 'browseable = no' 설정에 의해 폴더 리스트에 나타나지 않으므로 폴더명을 \\서버명\root와 같이 직접 입력합니다. nethdd 디렉토리(\\서버명\nethdd)는 폴더 리스트에 나타나므로 원하는 폴더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6. 참고자료
http://www.samba.org/samba/docs/man/manpages-3/smb.conf.5.html
댓글 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