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SPF 의 라우터ID
글쓴이: declspec / 작성시간: 일, 2011/11/13 - 5:17오후
RIP 에서는 라우터ID 라는것이 없습니다
그런데 OSPF 에서는 각각의 라우터가 자신의 ID를
IP 주소 형태로 가지고 있습니다.
1. 그 이유가 제 추측으로는 OSPF 는 모든 라우터가
토폴로지 전체정보를 가져야하니까 각각의 라우터를 나타낼
ID정보가 필요한것이고 RIP 는 인접라우터에게 광고만할뿐
전체 토폴로지 정보가 없기때문에 라우터ID 가 필요없다고 생각되는데 맞나요?
2. OSPF 라우터의 ID 는 왜 IP 주소의 형태인가요?
자신이 속한 네트워크의 주소와 뭔가 흡사하던데 이유가 따로있나요?
3. OSPF 에서 백본 AREA 의 ID 는 0.0.0.0 이던데 이것은 약속된건가요?
약속된게 아니라면 OSPF 는 백본AREA 를 어떻게 식별하나요?
Forums:
음... 질문하신 지 3일이 되었습니다만 다른분들
음...
질문하신 지 3일이 되었습니다만 다른분들 답변이 없는 관계로...
그렇다고해서 제가 OSPF 를 공부할 생각도 능력도 없으니 다만 위키백과의 내용을
그저 힐끔~ 보고 말씀드리는 점 이해바랍니다.
님께서도 위키백과 이상의 내용은 보셨으리라 추측하고요
우선 국내 중소업체 및 소형 IDC 내부의 많은 라우터 장비는 임대형으로 알고 있습니다.
심지어 제가 아는 어떤 ISP 는 ISP 인데도 불구하고 임대형이니까요
그 말은 라인과 라우터가 한 번 셋팅되면 어떤 문제가 발생하기 전까지는 업체 내부에서
손대는 사람도 없고 팀장에게도 그런 권한을 주지 않습니다.권한을 준다해도 수억장비와
수만의 고객 넷트웍을 아무 부담없이 만지기는 어렵습니다. 만져봐야 아주 잘해서 본전이죠
문제가 생기면 라우터 특성상 재부팅하면 대부분 사소한 것은 복구되고,그래도 안될시는
시스코사람들이 출동합니다.그런식이죠.
미리 백업라우터까지 있기 때문에 외부로 드러나지도 않고,전산 책임자는 기사들이 라우터
모듈 뜯으면 옆에서 구경이나 합니다.
많은 부분 이런 현실이 있기 때문에
OSPF 니 RIP 이니 닥치는대로 공부하던 사람도 몇 년 지나다보면
"그게 뭐더라 라우팅 프로토콜일건데~ 이케 됩니다."
즉 회선/장비 서비스 업체의 관계 직원이 아니면 이런거 만질 일이 아예 없기 때문에
결국은 잊어먹게 되는거죠.
이런 배경을 헤아려 주시고 성의없다고 나무라지 마셨으면....
1. 모든라우터가 가질 필요는 없을겁니다. 트리구조니까 루트는 그렇겠지만 하위로 갈수록
테이블은 줄어들겠죠
2. 그냥 2진수나 16진수로 쓰면 골아프쟎아요 그래서 IP 처럼 10진수로점(.) 을 찍은것 뿐입니다.
3. 프로토콜(약속) 으로 규정되어 있으니 약속된 것이죠.사실 올제로는 TCP/IP 에서 모든 넷트웍
또는 정의되지 않은 넷트웍으로 약속되어 있습니다.
음...
라우터ID 와 IP 주소를 구분하려 노력하시는 것으로 보입니다만,그리고 문서에 IP 와 별도로
뉘앙스를 갖고 있습니다만 IP 와 똑같이 보시면 됩니다.
그 말은
-
모든 IP 데이타그램은 헤더에서 목적지주소가
0.0.0.0 도 멀티캐스트도 브로드캐스트도 모두 저런 원리로 설명이 가능합니다. 다만 프로토콜 이라는 어떤 틀을 만들 때는 혼란을 줄 우려가 있거나 미래에 있을 확상성을 고려하여 만들겠지요 더군다나 라우터의 OSPF 는 심어진 루틴으로 일반 IP 나 브로드캐스팅에 대해 어떤 다른 예외루틴을 두어 OSPF 가 동작하지 못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겠지요. 하지만 원론적으로는 커널에 넘어오면 IP 헤더 목적지주소가 자신에 준하기만 하면 대부분의 디폴트 시스템은 프로토콜필드를 보고 처리하는게 같습니다.내것일 때
나를 포함한 그룹일 때
나를 포함한 브로드캐스트일 때
다음 헤더정보를 보는 커널 처리루틴으로 넘어갑니다.(아무 트릭이나 부가구현이 없는 맨땅시스템)
OSPF는 프로토콜 89번이랍니다.
이 말은 목적지 주소가 어떻든간에 상대 커널이 읽을 수 있는 주소로 포장해서
프로토콜필드에 89 번을 채워넣으면 라우터는 심어진 OSPF 루틴을 호출하여 처리할 수 있다는 겁니다.
이건 원론적인 설명으로 왜 IP 와 똑같이 생각하면 되는지를 말씀드리려 한 겁니다.
옛날 글이지만..
옛날 글이지만 제 생각으로 글을 써 보면
OFPF RFC에서 발췌하면(https://tools.ietf.org/html/rfc2328)
두 개가 나오죠. 1)은 RID의 추상적인/원론적인 정의(?) 2)는 구체적인 정의쯤 될 것 같네요.
1. 우선 RIB와 FIB를 아셔야 될 것 같네요 아마도?
2. 두번 째 질문은 RID의 두번 째 정의에서 나오죠.
"One possible implementation strategy would be to use the smallest IP interface address belonging to the router."
보통 라우터의 loopback 주소에 사설 아이피 주소를 할당하는건 아실 겁니다.
3. 이건 잘 모르겠네요
댓글 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