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트워크마스크 와 서브넷마스크의 차이는?
글쓴이: declspec / 작성시간: 수, 2011/10/26 - 8:27오후
예전에 비슷한 질문을 올렸지만 원하는 답을 못얻어 다시 질문해봅니다.
스위치나 허브등의 장비에 의해서 동일한 링크계층에
묶인 호스트의 집합을 하나의 네트워크라고 하죠.
즉 링크계층의 브로드캐스팅 프레임을 전송했을때 이것을
수신할 수 있는 모든 호스트의 집합을 하나의 네트워크라고 봐도 되겠죠?
그리고 라우터는 이러한 네트워크 여러개를 서로 연결해주고요.
그런데 용어를 좀 확실하게 하고싶어서 그런데 서브넷은 구체적으로
네트워크랑 어떻게 다른거죠?
ifconfig 나 ipconfig 를 치면 255.255.255.0 같은 마스크가 나오는데
이걸 서브넷 마스크라고 해야하나요 네트워크 마스크라고 해야하나요?
즉 192.168.1/24 이런 네트워크 주소가 있을때 24비트의 네트워크 마스크를
가졌다고 해야되나요 24비트의 서브넷 마스크를 가졌다고 해야되나요?.
둘이 무슨 차이가 있나요? 동일한 얘기인가요?
하나의 네트워크를 논리적으로 분할해서 독립적인 네트워크처럼 쓰는게
서브넷인가요?
Forums:
즉 링크계층의 브로드캐스팅 프레임을 전송했을때
즉 링크계층의 브로드캐스팅 프레임을 전송했을때 이것을
수신할 수 있는 모든 호스트의 집합을 하나의 네트워크라고 봐도 되겠죠?
=>네트워크는 특정 영역이 엄격하게 구분된 것은 아니고 그 뉘앙스 안에는 암묵적으로
(IP) 넷트웍 이라는 느낌도 있습니다.
위의 경우는 '로칼 넷트웍' 이 제일 적절할 것 같습니다.
ifconfig 나 ipconfig 를 치면 255.255.255.0 같은 마스크가 나오는데
이걸 서브넷 마스크라고 해야하나요 네트워크 마스크라고 해야하나요?
=>넷마스크가 맞습니다.
이라 말하는데 이 때 '서브넷마스크' 라 하면 정책상 클래스보다 잘게 잘랐을 때를 한정하는 넷마스크 용어이고 따라서 192.168.1.0/24 와 같은 경우 정책상도 C 클래스고 실제도 24비트라 C 클래스 최대 크기를 포괄하므로 서브넷마스크가 아닌 넷마스크입니다.
"그러나 이런 용어는 일반적으로 혼용해도 별로 욕먹을 일은 아닙니다."
만약
192.168.1.1/25 서브넷
192.168.1.1/23 수퍼넷
스펨 자동방지 지금 문자 못맞추고 있음...10분 쯤 지나니 슬슬 짜증이 나네요
Classful Network & Classless Inter Domain Routing
요즘에는 뚜렷하게 network mask와 subnet mask를 구분하지 않는 데요. 왜냐면 CIDR 이후 (현재) subnet mask를 쓰고 있기 때문이지요.
예전에 IPv4 초창기 시절에 network prefix에 따라 대충 A, B, C 급으로 (고정 크기 8, 16, 24 bit mask) network을 나눠썼는 데요, 좀 비효율 적이었지요. CIDR후 큰 network address를 쪼개면서 subnet mask가 생겨난 거지요 (가변 크기 (1~32) bit mask가 가능하도록요.) TCP/IP 프로토콜 설명하는 아무 책에나 대충 히스토리 부분을 보면 나와 있을 것 같은데요. wikipedia에도 있네요. http://en.wikipedia.org/wiki/Subnetwork
그냥 netmask, subnet mask 이제와서 구분은 사라지는 것 같습니다.
텀즈에서 발췌한 내용입니다.
이더넷의 패킷이 어떻게 전송되는지 사전 학습이 있어야 이해가 가능한 내용입니다.
아래는 텀즈에서 발췌한 내용입니다.
서브넷(subnet)은 "subnetwork을 줄인 말로서 어떤 기관에 소속된 네트웍이지만 따로 분리되어 있는 한 부분으로 인식될 수 있는 네트웍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하나의 서브넷은 하나의 지역, 한 빌딩 또는 같은 근거리통신망 내에 있는 모든 컴퓨터들을 나타낼 수 있다. 여러 개의 서브넷으로 나뉘어진 어떤 조직의 네트웍은 인터넷에 하나의 공유된 네트웍 주소로 접속될 수 있다. 만약 서브넷이 없다면, 그 조직은 물리적으로 분리된 서브 네트웍마다 하나씩, 여러 군데의 인터넷 접속을 가지게 될 것이며, 그렇게 함으로써 한정된 량의 인터넷 주소가 쓸모 없이 낭비될 수도 있게된다.
인터넷은 네트웍 사용자들 간에 서로 커뮤니케이션을 하기 위한 네트웍의 집합이다. 커뮤니케이션을 위해서는 양측의 사용자 또는 호스트가 관련되어 있는 발신지와 도착지 네트웍, 그리고 네트웍 내의 특정한 컴퓨터의 주소가 있어야 한다. 이 주소를 IP 주소라고 부른다. 32 비트의 IP 주소는 크게 두 부분으로 나뉘는데, 하나는 네트웍을 식별하는 네트웍 번호이고, 다른 하나는 네트웍 내의 특정한 컴퓨터나 호스트를 식별하는 호스트 번호이다. 한 기관에서 특정한 서브넷을 확인시키기 위해 컴퓨터나 호스트를 식별하는 주소 내의 비트들을 일부 사용할 수 있다. 그러므로 실제로는 IP 주소에는 네트웍 번호, 서브넷 번호, 그리고 컴퓨터 번호 등 세 부분이 포함되어 있는 셈이다.
서브넷을 만들고 확인시키는 표준절차가 인터넷 RFC 950에 제공된다.
IP 주소
32 비트의 IP 주소는 점에 의해 구분되는 4 부분의 십진수로 구성되어 있다. 예를 들면
130.5.5.25
와 같이 표현할 수 있는데, 각 십진수는 8 비트의 2진수 스트링을 표현한다. 그러므로, 위의 IP 주소는 실제로 0과 1로 표현한다면
10000010.00000101.00000101.00011001
처럼 된다. 위에 보는 바와 같이, 십진수로 되어 있는 IP 주소에서처럼 각 8자리의 2진수들 간에도 점이 삽입되어 있다. 10진수 IP 주소는 읽기가 쉬우므로 널리 사용된다.
IP 주소의 일부부분은 네트웍 번호를 표현하고, 일부분은 지역의 컴퓨터 주소를 나타낸다. IP 주소에는 몇 가지 클래스가 있는데, 각 클래스는 네트웍 번호를 몇 비트로 나타내는가 그리고 호스트 번호를 몇 비트로 나타내는가를 결정한다. 큰 기관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클래스가 B 클래스인데, 이것은 네트웍 번호에 16 비트를, 그리고 호스트 번호에 16 비트를 할당하는 것이다. 위의 예를 사용하여, IP 주소가 분할되는 것을 나타내 보면 다음과 같다.
<--네트웍 번호--><--호스트 번호-->
130 . 5 . 5 . 25
만약 이 주소에다가 서브넷을 추가하기를 원한다면, 호스트 번호의 일부분 (예를 들면 총 16비트 중 8 비트)을 서브넷 주소로 사용할 수 있으며, 다음과 같이 된다.
<--네트웍 번호--><--서브넷 주소--><--호스트 번호-->
130 . 5 . 5 . 25
여기서는 설명을 간단히 하기 위하여 서브넷을 8 비트로 정했지만, 실제로는 세 번째 쿼드의 일부, 심지어 네 번째 쿼드의 일부만을 서브넷으로 사용하는 등, 다른 구성을 선택할 수 있다.
서브넷 마스크
한 기관의 게이트웨이나 고유한 네트웍번호로 되어 있는 연결점에 패킷이 도착하면, 그 패킷은 서브넷 번호를 이용하여 조직 내부의 게이트웨이에서 다시 라우팅 될 수 있다. 이때 그 라우터는 서브넷 마스크를 봄으로써 어떤 비트를 참조해야하는지 또는 참조할 필요가 없는지를 알게된다. 마스크는 단순히 라우터가 참조해야할 비트가 어느 것인지를 말해주는 일종의 필터이다. 2진수 마스크에서 한 번호 상의 "1"은 "그 번호 이하를 보라"는 것을 의미하고, "0"은 "그 이하는 볼 필요가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마스크를 사용하면 라우터가 32 비트 주소 전체를 처리해야하는 부담을 줄여주며, 단순히 마스크에 의해 선택된 비트들만 보도록 해준다.
앞의 예제를 보면, 네트웍번호와 서브넷번호를 합하여 총 24 비트(또는 세 개의 쿼드)가 사용되고 있다. 그 패킷에 적용되기에 적절한 서브넷 마스크는 아마도 다음과 같은 것이 될 것이다.
255.255.255.0
또는 앞의 세 개의 쿼드에는 모두 "1"을 채움으로써 라우터에게 이 부분을 보라고 말하고, 라우터가 볼 필요가 없는 제일 마지막 쿼드에는 모두 "0"을 채우면 된다. 서브넷 마스크는 라우터에게 패킷을 좀더 빠르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해준다.
만약 한 조직의 서브넷을 만들고(이런 일을 영어로는 "서브네팅"이라고 부른다) 서브넷 마스크를 정의하는 일이 주어졌다면, 그 일은 조직의 크기나 복잡도 그리고 또다른 요인들에 따라 간단할 수 있고, 복잡할 수도 있다. 아래에 열거한 추가정보가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댓글 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