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 포인터 관련 내용인데 이해가 잘 안되네요.
책에서 본 내용인데 이해가 잘 안되어서 질문 올립니다.
1. char a[] = "rose";
2. char *p = "grace";
3.
4. a[0] = 'n';
5. p[0] = 't';
위의 코드 중에 5번째 라인에서 p[0] = 't'; 에서 런타임 에러가 발생한다고 합니다.
이유인 즉, p의 내용은 상수를 저장하는 텍스트 세그먼트에 저장되기 떄문에 수정하려면 오류가 발생하거나 수정이 안된다고 (플랫폼에 따라) 하네요.
대충은 알겠는데, 아래 원문 첨부 합니다.
--------------------------------------------------------------------------------------------------------------------------------------------------------
"rose"와 "grace"는 문자열 상수이다 .상수는 텍스트 세그먼트에 저장되므로, 문자열 또한 텍스트 세그먼트에 저장된다. 이 영역은 값이 바뀔수 없는 영역으로 문자열이 저장되면 그 시작 주소를 이용해서 접근할 수 있다. 그래서 문자열은 포인터로 생각할 수 있다. 예제[7-1](위의 코드) 에서 라인 1이 실행되면 우선 "rose"라는 문자열이 텍스트 세그먼트에 저장되고, 그 시작 주소를 이용하여 문자열을 불러와 스택에 만들어진 배열 a에 다시 복사된다. 만약 "rose"라는 문자열이 이전에 사용되었다면 동일한 문자열을 텍스트 세그먼트에 두번 저장하지 않고, 이미 존재하는 문자열 상수의 시작 주소를 넘긴다.
--------------------------------------------------------------------------------------------------------------------------------------------------------
결론은 텍스트 세그먼트의 내용을 직접적으로 수정하려고 하면 (상수이기 떄문에) 에러가 발생하는데, 위의 내용에서 예제[7-1](위의코드)에서 라인 1이 실행되면.. 이부분이 이해가 잘 안되는데요. 1번째 라인과 2번째 라인의 차이점을 잘 모르겠네요.
답변 부탁드립니다.
1번도 text영역에 "rose"는 기록되어
1번도 text영역에 "rose"는 기록되어 있습니다.
하지만 a가 그 주소를 가지고 있는게 아니죠
a는 배열이고 그 내용으로 "rose"라는 문자열을 복사해서 가지고 있습니다.
첫번째의 경우
첫번째의 경우는
char a[5] = {'r', 'o', 's', 'e', '\0'};과 같습니다.
C에서 어셈블리어로 변환될 때 이렇게 변환되죠. 즉,
아래와 같이 변환됩니다.
스택에 char a[5]를 보관할 만큼 장소 확보
a[0] = 'r';
a[1] = 'o';
a[2] = 's';
a[3] = 'e';
a[4] = '\0';
식으로 처리됩니다.
그래서 함수 내부에서 얼마든지 a[0] = 's'; 식으로 대입이 가능하죠.
두번째의 경우는 스택이 아닌 외부 공간에 "grace"를 저장합니다. 이 공간은 읽기 전용입니다. 프로그램 구동 중 내용을 바꾸지 못합니다.
함수에 들어오면 우선 스택에 char * 형을 저장할 공간을 확보합니다.
그 후 char *p = "grace"의 read-only 저장공간 주소
식으로 처리됩니다.
그래서 후자의 데이터를 수정할려면 segmentation failuer가 발생하는 겁니다.
댓글 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