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figure로 소스코드 makefile 생성 시 라이브러리와 실행파일 구분 방법
리눅스 공부 중에 궁금 사항 있어서 문의 드립니다.
./configure로 소스코드를 컴파일 하기 위해 makefile 생성 시
가령 php 설치 시 다음 처럼 옵션을 사용한다면
# ./configure --/prefix=/usr/local/php \
--with-gd=설치 디렉토리 \
--with-zlib-dir=설치 디렉토리 \
--with-mcrypt=설치 디렉토리 \
각 옵션에 사용된 확장들의 설치 정보는 다음과 같습니다.
[root@fedora14 ~ ]# rpm -ql gd
/usr/lib/libgd.so.2
/usr/lib/libgd.so.2.0.0
[root@fedora14 ~ ]# rpm -ql zlib
/lib/libz.so.1
/lib/libz.so.1.2.5
[root@fedora14 ~ ]# rpm -ql mcrypt
/usr/bin/mcrypt
/usr/bin/mdecrypt
gd, zlib는 라이브러리 형태(ELF 32-bit LSB shared object) 이고
mcrypt는 실행 파일 형태(ELF 32-bit LSB executable) 입니다.
./configure --help로 확인 하였더니 라이브러리의 경우
어떤 것은 --with-xxx, 어떤 것은 --with-xxx-dir으로 옵션을 주더군요..
위의 경우 라이브러리와 실행파일을 일반적으로 어떻게 구분 하여 옵션을 줘야 하나요?
그리고 configure 프로세스는 이 둘을 어떻게 구분할까요?
또한 빌드 과정에서 라이브러리는 링크 될꺼라 생각되지만,
실행 파일은 어떻게 링크(?)가 되는 건가요??
--with-xxx 같은 경우는 관련 소스를
--with-xxx 같은 경우는 관련 소스를 complete 셋으로 완전히 내장해서 모조리 컴파일하려 할때 종종 쓰는 방식일겁니다. (--with-xxx-dir이 그런건지도...)
예를 들어 --with-gd같은 경우 gd 소스가 소스트리에 같이 있는 경우. 그렇지 않은 경우는 그냥 --with-xxx 필요 없을겁니다.
src.rpm의 spec 파일을 확인해보세요. 힌트는 거기에 모두 있습니다.
그리고 컴파일때는 보통 실행파일을 지정하는 경우는 드물고 gd-devel 같은 패키지가 따로 필요할 수 있습니다. src.rpm의 DEPS 관련 섹션을 참고하세요.
답변 감사합니다.
src.rpm과 xxx-devel에 대해서 알아 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댓글 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