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 셋 함수 말고도 파일 스트림을 사용하는 함수들이 어떤 식으로 구현되어있는지 보고 싶은데요...
안에서는 아마 open, read, write, close들로 작성되 있겠지만, 어떤식으로 구현해놨는지 몹시 궁금해서요;
내부적으로 버퍼를 가지고 있다고 알고 있는데 버퍼를 어떤 식으로 사용하고 있는지도 궁금하네요;
해당 시스템의 사용되어지는 libc 소스를 보세요. Linux의 경우 대부분 glibc (GNU libc)를 사용하니 glibc 소스를 보시면 되겠습니다.
구글에서 glibc 만 치셔도 소스 다운로드 링크 바로 뜹니다.
데비안이나 우분투를 쓰신다면
apt-get source 패키지이름
텍스트 포맷에 대한 자세한 정보
<code>
<blockcode>
<apache>
<applescript>
<autoconf>
<awk>
<bash>
<c>
<cpp>
<css>
<diff>
<drupal5>
<drupal6>
<gdb>
<html>
<html5>
<java>
<javascript>
<ldif>
<lua>
<make>
<mysql>
<perl>
<perl6>
<php>
<pgsql>
<proftpd>
<python>
<reg>
<spec>
<ruby>
<foo>
[foo]
해당 시스템의 사용되어지는 libc 소스를
해당 시스템의 사용되어지는 libc 소스를 보세요.
Linux의 경우 대부분 glibc (GNU libc)를 사용하니
glibc 소스를 보시면 되겠습니다.
구글에서 glibc 만 치셔도 소스 다운로드 링크 바로 뜹니다.
데비안이나 우분투를 쓰신다면 apt-get
데비안이나 우분투를 쓰신다면
apt-get source 패키지이름
댓글 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