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가 사용자 계정생성을 해주었는데요..
aaa.com/~sm1201 이렇게 접속하는게 맞을텐데.. 되지않습니다.
어디서 설정을 해주어야하며. 어떤 설정을 해주어야하는지요??
분투서버는 안써봐서 모르겠지만... 아파치는 동일하니;;
UserDir disable
위 처럼 되어 있으면, 앞 부분에 #(주석)을 넣어주거나 아래처럼 바꿔줍니다.
UserDir public_html
아파치 설정적용을 위해서 /etc/init.d/httpd restart와 같이 아파치를 재시작해줍니다.
그런 뒤에 각 사용자 디렉토리 /home/계정명/public_html/ 디렉토리를 만들어주고 해당 디렉토리 내에 index.html을 만들어주면 됩니다. 그러면 이 후에는 aaa.com/~계정명으로 접속이 가능할 것입니다.
만약에 접속이 안되면 /home/계정명/의 퍼미션을 변경해줘야 합니다.
chmod o+x /home/계정명
각 배포판마다 설정파일의 구성은 다를 수 있지만 결국은 httpd.conf 파일을 관리의 목적에 따라서 분리를 해둔 것이므로... 기본적으로 아파치에 대한 공부를 하셔야할 것입니다.
저의 경우에는 CentOS 구축관리실무를 통해서 웹서버 구축에 대한 공부를 했었구요... 꽤 많이 도움이 됬었습니다.
* Everything is not accomplished *
텍스트 포맷에 대한 자세한 정보
<code>
<blockcode>
<apache>
<applescript>
<autoconf>
<awk>
<bash>
<c>
<cpp>
<css>
<diff>
<drupal5>
<drupal6>
<gdb>
<html>
<html5>
<java>
<javascript>
<ldif>
<lua>
<make>
<mysql>
<perl>
<perl6>
<php>
<pgsql>
<proftpd>
<python>
<reg>
<spec>
<ruby>
<foo>
[foo]
아파치 설정해줘야합니다.
분투서버는 안써봐서 모르겠지만... 아파치는 동일하니;;
UserDir disable
위 처럼 되어 있으면, 앞 부분에 #(주석)을 넣어주거나 아래처럼 바꿔줍니다.
UserDir public_html
아파치 설정적용을 위해서 /etc/init.d/httpd restart와 같이 아파치를 재시작해줍니다.
그런 뒤에 각 사용자 디렉토리 /home/계정명/public_html/ 디렉토리를 만들어주고 해당 디렉토리 내에 index.html을 만들어주면 됩니다. 그러면 이 후에는 aaa.com/~계정명으로 접속이 가능할 것입니다.
만약에 접속이 안되면 /home/계정명/의 퍼미션을 변경해줘야 합니다.
chmod o+x /home/계정명
각 배포판마다 설정파일의 구성은 다를 수 있지만 결국은 httpd.conf 파일을 관리의 목적에 따라서 분리를 해둔 것이므로... 기본적으로 아파치에 대한 공부를 하셔야할 것입니다.
저의 경우에는 CentOS 구축관리실무를 통해서 웹서버 구축에 대한 공부를 했었구요... 꽤 많이 도움이 됬었습니다.
* Everything is not accomplished *
댓글 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