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칭형/비대칭형 코루틴
글쓴이: gurumong / 작성시간: 화, 2011/02/22 - 12:45오전
루아를 공부하고 있습니다
프로그래밍 인 루아를 책을 보는데
코루틴을 설명하는 부분에서 완전히 이해가 막혀버렸습니다
코루틴은 대등한 관계의 함수 사이에 서로 제어를 옮겨가면 번갈아 실행이 되는것으로 이해를 했습니다
그런데 그런 코루틴에도 대칭형과 비대칭형이 있고 이렇다 저렇다 라고 설명하는데 도무지 이해가 되지 않습니다
Quote:
코루틴에 대해 어느 정도 알고 있다면, 이 책을 계속 읽기 전에 몇가지 개념을 명백히 하는 것이 중요하다.
루아는 비대칭형 코루틴(asymmetric coroutine)이라고 불리는 개념을 사용한다.
이는 루아가 코루틴의 실행을 일시 정지하는 함수와 일시 정지된 함수를 재개하도록 하는 또 다른 함수를 별도로 가지고 있음을 뜻한다.
몇몇 다른 언어는 대칭형 코루틴(symmetric coroutine)기능을 제공하는데, 이는 함수를 한 개만 사용하여 한 코루틴의 제어를 다른 코루틴으로 넘기는 것을 뜻한다.
일부 사람들은 비대칭형 코루틴을 세미 코루틴(semi-coroutine)이라고 부리기도 한다(대칭형이 아니기 때문에 진짜 '코'루틴(coroutine)이 아니라는 뜻이다).
기능이 일부 제한된 코루틴이라는 뜻으로, 앞서 언급한 세미 쿠로틴이라는 용어를 사용하기도 한다. 여기서 기능이 일부 제한된 코루틴이란,
어떠한 함수도 호출하고 있지 않은, 다시 말해 제어 스택 안에 대기하는 호출이 하나도 없을 때만 자신의 실행을 일시 정지할 수 있는 코루틴을 말한다.
다르게 말하면 이러한 세미 코루틴은 자신의 주 본체만이 그 권한을 양도 할 수 있다. 파이썬(python)의 발생자(generator)는 이러한 의미로 볼 때 세미 코루틴의 한 예라고 할 수 있다.
대칭형과 비대칭형 코루틴의 차이와 달리, 코루틴과 (파이선의 generator와 같은)발생자는 차이가 매우 크다.
파이썬발생자는 완전한 코루틴으로 작성할 수 있는 몇가지 흥미로운 구조를 구현하기에는 그다지 강력하지 않다.
루아는 완전하고 비대칭형인 코루틴을 제공한다. 대칭형 코루틴을 선호하는 개발자라면 루아의 비대칭형 코루틴 기능을 기반으로 하여 대칭형 코루틴을 충분히 구현할 수 있고,
이는 매우 간단하다(기본적으로 resume 다음에 바로 yield 함수를 사용하여 실행 제어권을 넘기면 된다).
이전까지는 천천히 읽을만한 책이였는데;
코루틴에 들어서면서 완전히 새로운 단어와 부족한 설명으로 이걸 어떻게 해야하나 고민하고있습니다 ㅜ.ㅜ
도움 설명좀 부탁드립니다 ㅜ.ㅜ
Forums:
http://www.lua.org/pil/9.1.ht
http://www.lua.org/pil/9.1.html
이부분이 도움이 되실것같습니다.
-------------------------------------------------------------------------------
It's better to appear stupid and ask question than to be silent and remain stupid.
댓글 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