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벨류(key-value)형 db활용하고 계신 고수님들께!
글쓴이: kfctoto / 작성시간: 목, 2011/02/03 - 9:05오후
안녕하세요. 초보시스템관리자입니다.
현업에서 키벨류db를 활용하고 계시는 분들 계시면
가르침을 부탁드립니다.
저도 전해들은거라...;
현시스템 rdbms를 사용하고 있을경우
퍼포먼스가 현저히 낮을 경우에,
키벨류형으로 바꿀 때 효과가 있는 경우는
어떤 경우들이 있을가요.
특히 대학시스템의 경우를 알고 계신 분이 계시면 좋을텐데...
혹시나해서 써봅니다.
부탁드립니다. 꾸벅
<앞으로도 내용갱신 예정!>
---------------------------------------------------------------
memchached호환 분산kvs의 경우
[key] -> [value]
Google BigTable의 경우
[ Row Key | Column key | Timestamp | Value ]
[ Row Key,Column Key, Timestamp ] -> [ Value ]
데이타배치장소에 영향을 준다
Windows Azure 테이블・스트레지의 경우
[ Partition Key | Row Key | Other Propoerties ]
[ Partition Key, Row Key ] -> [Other Properties]
데이타배치장소에 영향을준다.
----------------------------------------------------------------------
Forums:
제 경험으로 말씀드리면 사용하고 계시는 RDBMS를
제 경험으로 말씀드리면 사용하고 계시는 RDBMS를 전부 다 KVS로 바꾸는건 추천하고 싶지 않네요.
RDBMS는 그대로 운용하시고 KVS를 이용해서 중간에서 케슁하는 방법으로 이용하시는게 효율적입니다.
많이 좋아졌다고는 하지만, KVS 서비스들이 불안정한건 사실입니다.
트위터도 처음에는 Cassandra를 사용하다가 점진적으로 MYSQL의 비율을 높였다고 들은 것 같네요.
참고 되셨으면 합니다.
..
예를 드신 사례가 이상함이 느껴져 첨언합니다. 트위터의 메인 저장소는 처음부터 MySQL 이었습니다.
트래픽이 늘면서 Cassandra 일부 시스템 구축에 사용했다고 했는데, 발표 시점에서는 메인 저장소로는 아직 사용하지 않는다고 했습니다.
2010-09 에 발표한거라, 그 이후는 어떻게 되었는지 모르겠네요.
http://www.computerworld.com/
http://www.computerworld.com/s/article/9161078/Twitter_growth_prompts_switch_from_MySQL_to_NoSQL_database
찾아보니 정말 그런 것 같네요.
잘못 알고 있었는데, 지적 감사합니다.
댓글 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