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yumingi의 이미지

후 로그인해서 보니 가입한지가 39주 하고 몇일 지낫네요 ㅎㅎ
이제 중학교 졸업인데 연합고사 떨어질까봐 공부도 잘 않되서 그냥 공고 컴퓨터 쪽을 가기로 햇습니다 ㅎㅎ
근데 막상가고 보니깐 멀해야할지 몰르지만
리눅스,유닉스,파이썬,C언어,자바,전산회계,영어(기초),수학10-가
동영상강좌 다운 받앗는데요
수학이랑영어를 제외하고 리눅스부터 보고잇는데 흐음,, 리눅스보다보니깐 유닉스라는 말이나와서 유닉스부터봐야하나 ;;
생각중인다 영어랑 수학 제외하고 머 부터 봐야하나요?순서랑상관없이 그냥 막봐도상관 없는지 좀 알려주세요~ 부탁드려요 ~

jw8704의 이미지

컴퓨터에 computer engineering(CE),computer science(CS) 가 있고 전자공학쪽으로 Electronic Engineering(EE) 가 있다고 크게

분류해볼수있는데요, 뭐 세부적으로는 computer engineering 안에 software engineering 이있다고도 생각하기도하고 그럽니다.

어차피 이것들도 뭐 자연적인 법칙이라기보단 , 나중에 컴퓨터를 계속 하시다보면 느끼실수도있고 벌써 느끼셨을수도있지만 분야가 광범위하다보

니 이렇게 분류를 하는것이 좀 필요하고 유용할때가 있다보니 이렇게 분류를 하게된것같네요.

그런데 , 아마 보통의 경우 중학교를 막 졸업한 상태라면 저러한 큰 분류를 생각할 기회가 쉽게없었을거에요..

그래서 보통 software engineering 이라 볼수있는 컴퓨터 프로그래밍 혹은 그외 기술들, 리눅스 깔기 .. 등등을 하게되는데,

자신이 하고싶은게 벌써 확고히 정해졌을수도있지만, 좀더 다른 부분을 살펴보는것도 좋을것같네요.

EE 같은경우에는 수학,물리 등이 반드시 필요하기도하고 또 CS 같은경우에도 필요해요, 이러한 사실을 인지한다면 자신의 공부계획을 세우는데

도 도움이될것같네요.

보통은 CE 분야만 쭉 하는 경우도있는데 CE 하다가 CS 가하고싶고 그러다 EE 가 하고싶어지는 경우도있으니 이러한 점도 고려를해서 공부계획세

우는데 참조하세요.

그리고 마지막으로 , 지금은 리눅스깔고 , 프로그램 하나 짜는게 독학으로 할때 시간이 많이걸릴수도있어요, 님의 그 열정은 높이 살만하지만,
20대가 넘어가면 4년제,혹은 2년제 대학을 졸업한 수많은 사람들이 님이 중학교때 몇달걸려서한걸 단 몇주만에 공부를 끝내는일도 있습니다.
그러니까, 지금 님옆에 그냥 보통 대부분의 학생들이 나중에 이과가서 대학을 컴공이나 이런데 가면 지금은 님보다 못해도 님보다 잘하게
되는 일도 일어날수있어요.
대학가면 리눅스 깔고 이런건 교과과정에 포함조차되어있지않습니다.

저는 개인적으로 수학,과학을 중점적으로 공부하면서 수학,과학이 컴퓨터공학및 전자공학에 추후 어떤식으로 연계되는지 살펴보고,
프로그래밍 부분은 프로그래밍 스킬을 키운다는 생각으로 프로그래밍 문법 빨리끝내고, 알고리즘 공부하시는걸 추천드립니다.
그리고 시간남을때 리눅스 깔고 서점에서 구할수있는 리눅스 교재 전체 따라서 한 2번만 따라하세요.

추가적인 내용입니다.

예를 들은건데 리눅스에 설치되어 작동되는 Apache 서버를 이용했습니다.

*리눅스에서 작동되는 웹서버 프로그램으로 보통 많이 사용되는것중 아파치(Apache) 라고있습니다.

아파치를 설치해주는 작업을 하는 사람이있습니다.(웹서버 구축해드립니다..라고 광고지붙어있는경우도 여기에 해당되고
중소기업이나 대기업에 웹서버 환경을 구축해주는 경우도 여기에 포함되나, 이부분에도 가벼운 기술만갖고 하는 경우부터 심도있는 기술영역에
대한 공부를 마친 경우도있습니다.)

프로그래밍을 열심히 공부해서 아파치프로그램을 제작하는 프로그래머가 있습니다.

아파치가 좀더 많은 접속자환경에서도 안정적으로 돌아갈수있도록 그러한 알고리즘을 설계하는 사람도있습니다.
(아파치를 제작하는 프로그래머도 마찬가지지만 , 이사람의 경우에는 네트워크에 대한 심도있는 지식이 필요할수도있습니다.)

아파치웹서버는 리눅스상에 설치되어돌아가지만 리눅스는 또 컴퓨터에 설치되어돌아갑니다. 이러한 컴퓨터에 들어가는 부품인 메모리(RAM)
HDD 를 만드는 사람도있습니다.이러한것을 만드는 사람은 리눅스및 아파치 웹서버가 자신이 만든 RAM,HDD 에서 돌아가는것을 보며 기쁨을 느낄수도있겠죠. 또 자신이 만든 RAM,HDD 에서 동일한 리눅스및 아파치 서버가 다른 회사에서 만든 RAM 및 HDD 에서 돌아갈때보다 안정적이고 더 빠르게 작동될때도 기분이좋겠죠.보통 이러한 작업을 하는사람들은 수학,물리,전자공학과를 나온 사람들이합니다.

또,위에 RAM,HDD 를 만드는 사람들로부터 제작된 RAM,HDD 를 가지고 컴퓨터를 조립하여 판매하거나 A/S 를 하는 사람도있습니다.
(이경우에는 심도있는 수학,과학이 필요하진않습니다)

Apache 서버를 갖고 처음에 많은 시간을들여 설치에 성공하고 작동을 시켰습니다.<- 이것에 대한 열정은 순수하며 높이살만합니다.
하지만 그때 Apache 만들어보는 연습을해보는것도 생각해보는것은 필요합니다.<- 이생각을 못한건 죄가 아니지만.. 아무튼 생각해보아야합니다.

좀더 시야를 넓히고 , 심심하실때 대학교 홈페이지가셔서 교과과정 어떻게되어있나보고 서점가셔서 대학교재들 살펴보시는것도 도움이됩니다.

실력이 좋다고해서 실력이 없는 사람보다 열정또한 높다고 할순없습니다. 열정은 많지만 실력이 없을수도있어요.

리눅스 깔고 아파치 서버작동시키는데 1년이 걸려서 했을때 , 이사람의 열정은 정말 높이 살만하지만, 솔직히말해서 저 2개의 작업은 그냥 학원가면 1주일정도면 끝날수도있는 내용이고, 시간이 지나서 리눅스나 아파치가 깔기쉽게 변해버리면 열정과 추억, 그리고 장애처리 능력 외에는 크게 남는게없는것같습니다.

아직 나이가 어리신데, 님이 갖고계신 시간과 열정을 어떤부분에 사용하실건지는 님이 결정하셔야하고 하시겠지만..
무작정 열정과 시간을 사용하신다면 님의 의도와는다르게 큰 유익한 공부가 되지않을수도있어요.

무식하게 열심히공부하는것 + 영리하게 학습 경로를 정해서 공부하는 방법을 혼합해서 사용하세요.

영리하게만 학습해도 안되고 무식하게만 열심히 공부해도 별로 안좋은것같아요.

그럼 꿈을 이루시길 바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