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소프트웨어 라우터 zebra를 공부하고 있는데요..
소스를 분석해 보니 zebra의 라우팅 테이블 구조가 이진트리로 되어 있는거 같아서
정말 이진트리로 되어 있는지 확인해 보고 싶어요
라우팅 테이블의 구조가 이진트리로 되어 있는지 확인하려면
어떤 형식으로 코딩을 해야 할까요??
preoder, postorder 같은 것을 활용해야하는건가요?
참고삼아 한마디. zebra가 routing 테이블을 어떻게 다루는지는 잘 모르겠지만 결국은 os의 라우팅 테이블을 조정하는 것이 됩니다. zebra가 직접 패킷의 라우팅을 결정하는 것은 아니라는 얘기죠.
스태틱 라우팅 테이블을 어떻게 다루는지 보시려면 zebra/rib.c 에서 "ip route 명령을 찾아보시면 될 것 같아요.
언제나 삽질 - http://tisphie.net/typo/ 프로그래밍 언어 개발 - http://langdev.net
텍스트 포맷에 대한 자세한 정보
<code>
<blockcode>
<apache>
<applescript>
<autoconf>
<awk>
<bash>
<c>
<cpp>
<css>
<diff>
<drupal5>
<drupal6>
<gdb>
<html>
<html5>
<java>
<javascript>
<ldif>
<lua>
<make>
<mysql>
<perl>
<perl6>
<php>
<pgsql>
<proftpd>
<python>
<reg>
<spec>
<ruby>
<foo>
[foo]
참고삼아
참고삼아 한마디.
zebra가 routing 테이블을 어떻게 다루는지는 잘 모르겠지만
결국은 os의 라우팅 테이블을 조정하는 것이 됩니다.
zebra가 직접 패킷의 라우팅을 결정하는 것은 아니라는 얘기죠.
스태틱 라우팅 테이블을 어떻게 다루는지 보시려면 zebra/rib.c 에서 "ip route 명령을 찾아보시면 될 것 같아요.
언제나 삽질 - http://tisphie.net/typo/
프로그래밍 언어 개발 - http://langdev.net
언제나 삽질 - http://tisphie.net/typo/
프로그래밍 언어 개발 - http://langdev.net
댓글 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