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dhat 7.3을 시스템 언어를 한글로 선택 설치해서 한글로 나옵니다.
그런데 윈도우가 설치된 디렉토리를 보면 한글이 깨져서 나오는군요..
제 생각에는 윈도우즈와 리눅스의 한글 코드가 다른것 같은데..
해결 방법 없을까요?? 부탁드립니다.
참고로 저는 윈도우즈2000을 사용합니다.
Linux에서 VFAT(Windows 계열)이나 CDROM에서 한글파일명을 볼려면 많은사람들이 CD-ROM이나 Windows 95, 98, Me, 2000등에서 사용하는 VFAT 형식을 마운트할때 한글이 안보이고, ???? 의 물음표로 처리된다고 종종 물어보죠?
사실 이것은 mount 시에 I/O character set을 지정하지 않아서 생기는 일입니다. 만일 /etc/fstab을 고친다면 다음과 같이 고쳐놓자. 뒷부분의 option 란에 iocharset=euc-kr 만 추가해주면 됩니다.
/dev/sda11 /mnt/E_Drv vfat noauto,noexec,ro,iocharset=euc-kr 0 0
혹은 mount 시에 명령을 내린다면 다음과 같이 합니다.(아래 예로 든 명령은 CD-ROM을 마운트 하는 명령입니다)
mount -t iso9660 -o iocharset=euc-kr /dev/hdc /mnt/cdrom
자 이제 euc-kr을 알았으니 혹시 중국어나 일본어라면 그에 상응하는 코드로 해주면 됩니다. (일본어가 아마도 euc-jp or sjis 던가?)
======================================== * The truth will set you free.
정말 감사합니다. 이런 값진 정보를주셔서... 제가 아직 너무 초보라..
그럼 ^^.. 즐거운 시간 되세요..
---- 먼저 알게 된 것을 알려주는 것은 즐거운 일이다!http://hangulee.springnote.comhttp://hangulee.egloos.com
텍스트 포맷에 대한 자세한 정보
<code>
<blockcode>
<apache>
<applescript>
<autoconf>
<awk>
<bash>
<c>
<cpp>
<css>
<diff>
<drupal5>
<drupal6>
<gdb>
<html>
<html5>
<java>
<javascript>
<ldif>
<lua>
<make>
<mysql>
<perl>
<perl6>
<php>
<pgsql>
<proftpd>
<python>
<reg>
<spec>
<ruby>
<foo>
[foo]
iocharset 설정때문입니다.
Linux에서 VFAT(Windows 계열)이나 CDROM에서 한글파일명을 볼려면
많은사람들이 CD-ROM이나 Windows 95, 98, Me, 2000등에서 사용하는 VFAT 형식을 마운트할때 한글이 안보이고, ???? 의 물음표로 처리된다고 종종 물어보죠?
사실 이것은 mount 시에 I/O character set을 지정하지 않아서 생기는 일입니다. 만일 /etc/fstab을 고친다면 다음과 같이 고쳐놓자. 뒷부분의 option 란에 iocharset=euc-kr 만 추가해주면 됩니다.
/dev/sda11 /mnt/E_Drv vfat noauto,noexec,ro,iocharset=euc-kr 0 0
혹은 mount 시에 명령을 내린다면 다음과 같이 합니다.(아래 예로 든 명령은 CD-ROM을 마운트 하는 명령입니다)
mount -t iso9660 -o iocharset=euc-kr /dev/hdc /mnt/cdrom
자 이제 euc-kr을 알았으니 혹시 중국어나 일본어라면 그에 상응하는 코드로 해주면 됩니다. (일본어가 아마도 euc-jp or sjis 던가?)
========================================
* The truth will set you free.
정말 감사합니다.. 너무 잘되는군요..
정말 감사합니다. 이런 값진 정보를주셔서... 제가 아직 너무 초보라..
그럼 ^^.. 즐거운 시간 되세요..
----
먼저 알게 된 것을 알려주는 것은 즐거운 일이다!
http://hangulee.springnote.com
http://hangulee.egloos.com
댓글 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