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DP 통신에서 최초 연결(연결이라고 하긴 뭐하지만)이 되었을때 fork해서 하나의 새로운 프로세서를 만든후에 이곳에서 통신이 지속되게 하는 통신 모델은 어떤식으로 보통 구성하시나요?
구지 프로세서를 만들어 써야 하는 상황입니다.
오래되서 좀 가물가물하긴 합니다만....
부모 프로세스는 그냥 계속 하나의 소켓으로 listening하고 있다가 연결 요청이 생기면 소켓을 하나 더 만들고, 그대로 포크 한 다음에 부모는 새로 만든 소켓을 닫고, 자식은 새로 만들어진 소켓 외의 것을 닫습니다. 그럼 간단히 연결되겠죠.
혹시 Detach를 해서 가따 붙이는 방법을 말씀하시는건가요??
1. main에서 접속 요청 or 접속 확인 2. 자식 프로세스 하나 생성 3. main에서 접속된 소켓을 자식 프로세스의 소켓에 붙여넣기 4. main 소켓은 다시 접속 요청 or 접속 하기
UDP STUN 서버 던가 그거 배울때 잠깐 기억이 나서...;;;
[blog: http://xiasonic.tistory.com ]
텍스트 포맷에 대한 자세한 정보
<code>
<blockcode>
<apache>
<applescript>
<autoconf>
<awk>
<bash>
<c>
<cpp>
<css>
<diff>
<drupal5>
<drupal6>
<gdb>
<html>
<html5>
<java>
<javascript>
<ldif>
<lua>
<make>
<mysql>
<perl>
<perl6>
<php>
<pgsql>
<proftpd>
<python>
<reg>
<spec>
<ruby>
<foo>
[foo]
오래되서 좀
오래되서 좀 가물가물하긴 합니다만....
부모 프로세스는 그냥 계속 하나의 소켓으로 listening하고 있다가 연결 요청이 생기면 소켓을 하나 더 만들고, 그대로 포크 한 다음에 부모는 새로 만든 소켓을 닫고, 자식은 새로 만들어진 소켓 외의 것을 닫습니다. 그럼 간단히 연결되겠죠.
훔...
혹시 Detach를 해서 가따 붙이는 방법을 말씀하시는건가요??
1. main에서 접속 요청 or 접속 확인
2. 자식 프로세스 하나 생성
3. main에서 접속된 소켓을 자식 프로세스의 소켓에 붙여넣기
4. main 소켓은 다시 접속 요청 or 접속 하기
UDP STUN 서버 던가 그거 배울때 잠깐 기억이 나서...;;;
[blog: http://xiasonic.tistory.com ]
댓글 달기